엄마의 방
김정숙/ 구미시 선산읍
꽃무늬 벽지 황홀한 그 방,
작은 두레반에
엄마는 詩를 차린다.
김치 한 보시기에도
흰 구름을 동동 띄울 수 있는
엄마는
詩人처럼 입가의 주름을 쓰윽
닦아낸다.
당새기에 담긴
일곱빛깔 염주알 엮인 줄마다
한 아이의
탯줄인 양 간곡하게 어루만진다.
탕탕탕
외아들이 못질하고 떠난
액자의 테두리 물끄러미 바라본다.
어린 여섯 딸아이 옹기종기 앉은
사철나무 배경의 사진도 바라본다.
다음 달이면 또 비워야할 방
없는 꽃무늬도 마음으로
그려내는 남의 집 월세방.
벗기다 만 도라지껍질
퀴퀴한 청국장 냄새, 팔다 남은
부추단 윗목을 지킨다.
오일장마다 이름난 떡할매 울엄마
하얀 차돌, 가을하늘, 은행잎, 옥색우물, 단감, 홍옥, 단풍잎을
손바닥에서 만들어
밤마다 염주알 굴려
향그런 나라 하나 만든다.
엄마 나라
엄마 방엔
천장이 없어
시인처럼 날아가는
날개가 없어
흠뻑 젖은
속적삼 흥건한 엄마의 몸 그대로
집 한 채가 되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