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이 끝나자마자 입시기관들이 가채점 결과를 근거로 한 분석 자료들을 쏟아내고 있다. 영역별 평균 점수에서부터 대학·학과별 지원 가능 점수대까지 입시 전략 수립에 필요한 거의 모든 자료를 망라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표준점수로 환산한 실제 수능 성적이 발표되기도 전에 이처럼 많은 자료들을 받아보게 되는 수험생과 학부모들로서는 오히려 혼란스럽다. 게다가 입시기관들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어느 쪽을 믿어야 할 지 헷갈리기도 한다. 다양한 분석 자료들을 신중하게 취사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참고 자료로 여겨라=원점수 채점 결과만 확실한 상황에서는 입시기관들이 아무리 여러 가지 통계의 근거를 제시한다고 해도 확실히 믿을 수 있는 것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기관마다 영역이나 과목에 따라 큰 폭의 차이를 보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미리 판단할 필요가 없다. 수험생들로서는 자신에게 유리한 결과를 믿고 싶고, 불리한 결과는 배척하고 싶은 마음이 들겠지만 수능 성적 발표 때까지는 지원 전략 수립에 참고하는 자료 정도로 느긋하게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관성을 가져라=입시기관들의 분석은 나름대로 일관된 체계로 만들어진다. 표준점수 예측에서부터 학과별 지원 가능 점수까지 같은 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것이다. 수험생들 역시 한 기관의 분석 자료에 맞춰 일관되게 활용하는 것이 좋다. 수능 영역별 등급이나 평균점수, 표준점수 예상치 등을 한 기관에 맞췄다면 누적 도수분포 추정치나 학과별 지원 가능 점수도 같은 기관에 맞춰 가늠해야 오류를 피할 수 있다. 평소 모의고사 때 자주 활용했던 기관이 있다면 수능 역시 그에 맞추는 편이 익숙할 것이다.
▶판단 범위를 넓혀라=입시기관들의 발표가 아무리 단정적이라고 해도 수험생들은 표준점수 환산 이후, 즉 실제 수능 성적 발표 이후 달라질 수 있는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넓은 범위에서 판단해야 한다. 원점수를 기준으로 가장 좋은 경우와 나쁜 경우를 참고하되 입시기관들의 분석과 적절히 맞아떨어지는 선에 입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좋다. 지원 가능 대학을 고를 때도 가능한 선택의 폭을 넓혀야 한다. 입시기관들의 배치기준표는 최상위권에서 2, 3점밖에 차이가 나지 않지만 내려갈수록 폭이 커져 10점 이상씩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적어도 한두 급간 아래 위의 대학은 자신의 선택 범위에 포함시켜야 한다.
▶전문가와 상담하라=자신의 수능 점수가 기대만큼 나오지 않았다고 혼자 입시 전략을 세우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학교 선생님과 상담을 통해 지원의 기본 골격을 잡은 뒤 입시학원 등을 찾아가 전문가와 상담하며 세부적인 지원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잠깐의 부끄러움 때문에 일생에 중요한 선택을 망치는 상황을 자초할 필요는 없다. 입시전문가들은 그동안의 많은 경험과 분석을 통해 수험생의 생각보다 훨씬 넓고 다양한 길을 제시해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김재경기자 kj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