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 국제여행객 테러위험지수 산출

미국 정부가 지난 4년간 자국민을 포함해 미국을 왕래하는 모든 국제여행객을 대상으로 일종의 테러위험지수를 산출해 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1일(현지시간) 미 언론 보도에 따르면 국토안보부는 미국 입출국자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출발지와 항공권 비용지불 방법, 자동차기록, 과거 편도여행기록, 기내 좌석 및 기내식 선호도 등을 포함하는 여행기록을 분석을 통해 테러위험지수를 만들어왔다.

테러위험지수는 여행객이 테러범이나 범죄자일 수 있는 가능성을 수치화한 것으로 국토안보부는 관련 자료를 40년 간 보관할 계획이지만 이를 일반에 공개하지는 않을 방침이다.

국토안보부는 최근까지도 '자동표적화시스템(ATS)'이라는 이름의 이 프로그램을 공개하지 않다가 지난달 초 관보를 통해 슬그머니 프로그램의 존재를 밝혔다.

국토안보부는 당시 관보를 통해 테러위험지수 관련 자료 없이는 테러범이나 범죄자 색출능력이 현저히 저하될 수 밖에 없다며 ATS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나 개인정보 보호를 주장하는 단체들은 부당한 인권침해 가능성에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인권단체들은 평가의 대상이 되는 사람을 감안할 때 ATS가 이제까지 정부가 사용한 시스템 가운데 개인정보를 가장 심각하게 침해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면서 잘못된 평가로 무고한 사람이 여행이나 취업 등에서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