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박 행자장관 후보에 대한 우려와 당부

박명재 행정자치부 장관 후보자의 處身(처신)이 질타를 받았다. 어제 국회 인사청문회는 박 후보자가 지난 5'31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포항시장 선거에 공천 신청을 하려다 열린우리당 경북지사 출마로 선회한 '이중 행보'를 따졌다. 그는 "주변 권유 때문에 이력서를 넣었다가 다음날 철회했다"고 했지만 그런 갈지자 前歷(전력)이 '보은 인사'에 대한 해명을 구차하게 만들었다.

청문회의 지적처럼 오락가락한 출마 과정에서 어떤 이면 거래가 있었는지 알 길이 없다. 본인을 포함해 아는 사람만 알 수밖에 없는 내용이다. 다만 여기저기 기웃거린 所信(소신) 없는 인상을 가지고 선거 주무 장관 직을 제대로 수행할 것이냐는 점이 걸리는 것이다. 내년 대선은 이 나라의 장래가 달린 大事(대사)다. 정부가 공정한 심판자 역할을 하지 못하면 4천800만 국민의 운명은 뒷걸음칠 수 있다. 그 막중한 자리에 줏대 없는 인물이 정치적 보답으로 앉는다면 과연 제구실을 하겠는가. 정치적 회유와 압력을 단호하게 물리칠 수 있을 것인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박 후보자의 매끄러운 업무 처리 능력을 모르지 않는다. 한나라당 김용갑 의원 같은 이가 대놓고 칭찬할 정도로 누구에게 뒤지지 않는 실력이라는 것도 안다. 하지만 선거철 행자부 장관은 그러한 실무적 능력보다 정치적 中立(중립)이 더 필요한 자리이다.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교묘한 합법'으로 여당을 편들 수 있고, 실제 우리 선거사는 그같이 좋지 못한 전례를 숱하게 쌓아왔다.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떨어져 되레 전국 지자체를 관장하게 된 어색한 장관 자리다. 청문회마저 구속력 없는 통과의례쯤으로 치부해서는 세상의 눈총을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다. 본인의 다짐처럼 공정한 대선 관리가 빈말이 아니길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