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닫을 위기 구미수출원예공사, 올해는 흑자 경영

사업장 폐쇄 위기에 몰렸던 구미원예수출공사가 인력감축 등 경영혁신을 통해 올해 10억 원의 경영수지 흑자를 냈다. 환율하락과 유가인상 등으로 지난해 15억 원의 적자를 내면서 경영난을 겪어왔으나 고통을 동반한 경영혁신이 정상화의 밑거름이 된 것.

구미시가 자본금을 출연, 지난 1997년 설립된 구미원예수출공사는 구미시 옥성면 낙동강변에 축구장 4개 규모인 4만 1천 250여㎡(1만 2천 500평)에서 스프레이국화를 생산해 일본 등에 수출하고 있다.

설립 이후 비교적 순탄하던 공사는 지난 2004년부터 환율 하락·가격 경쟁력 약화·유가 상승 등 외부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말레이시아·베트남 등 지역적 환경이 유리한 국가의 저가 공세에 밀려 일본시장을 잠식당해 1억5천만 원의 적자를 냈으며, 지난 해는 수출이 늘어날수록 적자폭도 더욱 커져 15억 원의 경영수지 적자를 내면서 문을 닫아야 할 지경에 이르게 됐다.

구미시는 자구책으로 사장을 해임하고 사장 잔여임기 1년 간 무보수 근무 후 경영수지 흑자를 달성하면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최고 10%)를 제공하는 조건에 김상호(69·전 칠곡군수) 씨에게 경영을 맡겼다.

김 사장은 "인센티브 전액을 직원들에게 돌려주고 빈손으로 돌아가겠다."면서 직원들을 독려해 '비상경영 300일 작전'에 돌입했다.

부득이 인력 감축을 단행하고 사무직원 10명을 현장에 투입 시켰다. 작업능률 향상을 위해 작업공정별 아웃소싱(Out-sourcing)제도 도입했다. 이 결과 총 인건비의 30%에 해당하는 5억 여 원 정도를 절감시켰다.

연간 20억 원이 이르는 물류비용고 직거래 등을 통해 과감히 줄여 나갔다. 이런 노력들은 경영 성과로 이어졌고 올해 흑자를 기록했다.

김상호(69) 사장은 "동양 최대 국화수출단지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전 직원이 뼈를 깎는 아픔의 노력으로 경영혁신의 성과를 이뤄냈다."며 공을 직원들에게 돌렸다.

구미·정창구기자 jungc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