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식품 광고에도 '최고의', '가장 좋은', '특(特)', 'Best', 'Most', 'Special' 등의 표현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비빔밥이나 육개장 등 식당에서 직접 만들어 파는 음식의 경우 어떤 광고를 하든지 허위·과대 광고로 제약받지 않는다. 보건복지부는 29일 이 같은 내용의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공포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지금까지는 병원 환자식, 이유식 등에 대해서만 건강유지나 건강증진, 체력유지 등 신체 기능을 증진하는 데 유효하다는 광고나 표시를 할 수 있었던 것을 모든 식품으로 확대 허용하고, 식품에 함유된 영양 성분의 기능과 작용 등도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수입식품의 안전 관리를 위해 식품 수입·판매업자가 중대한 위반행위를 해 영업정지처분을 받은 뒤 3년 이내에 3차례 이상 위반행위를 더 하면 영업허가취소나 영업소 폐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했다.
개정안은 김치 원료의 구입에서 제품의 생산까지 단계별로 김치를 위생관리하기 위해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도입을 의무화하되 종업원 수와 매출액에 따라 단계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또 식품 제조·가공업자, 위탁자도 자가품질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제과점 영업자가 제과·제빵류의 제조·가공시 조리장을 공동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기생충 알 등이 유입된 식품에 대해선 폐기 조치와 함께 행정처분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개정안은 아울러 수입식품 사전확인 등록시 서류제출 요건을 간소화하고 현지 실사를 통한 사전 확인 기능을 강화토록 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