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취업창업)떴다! 이동식 테이크아웃점

"투자비 적게 들고 수익 짭짤해요"

'좋은 목'을 좇아 가는 '이동식 테이크아웃점'이 최근 많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졸업·입학 시즌인 이 맘때면 이동식은 더 없는 대목이다. 이동식 테이크아웃점은 초기 투자비가 적게 드는 데다 사람들이 많은 곳을 골라 갈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기가 높다. 잘 만 운영한다면 큰 비용 들이지 않고 짭짤한 수익도 올릴 수 있다.

▲ 길거리 커피전문점

달서구 월광수변공원에 자리한 '로드카페'라는 이동식 커피전문점은 이곳에선 하나의 명물로 여겨진다. 공원을 자주 찾는 사람들은 로드카페의 커피를 한 번씩은 다 마셔봤을 정도다. 강상원(36) 사장은 "손님 가운데 주로 연인과 부부들이 많은데 좋은 맛과 옛 추억 때문에 왜관 등 멀리서도 찾아온다."고 자랑했다.

8년 동안 호텔 식.음료 쪽에 근무했던 강 사장은 평소 커피를 무척 즐기는 커피 마니아. 그런 취미를 살려 2002년 900만 원(중고차 가격 제외)을 투자해 이동식 커피전문점을 차렸다. 0.5톤 차량을 개조해 커피전문점으로 변신시킨 것. 강 사장은 "당시만 해도 이동식 가게가 거의 없던 시기라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고 회상했다.

로드카페의 인기 비결은 단연 신선한 맛. 강 사장은 생두를 직접 뽑아 원두를 만든 후 손님이 주문하면 즉석에서 원두를 갈아 커피를 만들어낸다. 다양한 시럽 또한 자기만의 노하우로 직접 만들어 커피에 첨가하고 있다. 강 사장은 "열흘이 지나지 않은 원두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선함이 살아있다."고 말했다. 다양한 커피를 맛 볼 수 있는 것도 매력. 에스프레소 종류만 무려 20여 가지. 차량 한 켠에 걸려있는 메뉴판이 빽빽할 정도다.

강 사장 특유의 친절함과 배려도 인기에 한 몫하고 있다. 강 사장은 "호텔에서 오래 근무하다보니 손님들에게 친절하게 대하는 태도가 몸에 배였다."고 말했다. 또 단골들 취향을 파악해두었다 다음에 찾아오면 곧바로 만들어주면 손님들이 무척 좋아한다고 덧붙였다.

로드카페는 이동식이라 항상 이곳에만 머물지 않는다. 강 사장은 "이곳을 주로 근거지로 해서 한시적으로 사람들이 북적이는 축제장이나 대학가 등도 가끔씩 찾아간다."고 전했다. 강 사장은 조만간 가게 이름을 '미스터 에스프레소'로 바꾼다. 입소문으로 장사가 잘 되자 주변에서 이름을 도용하는 경우가 적잖기 때문이라고 했다.

▲ 호떡 포장마차

빨간색과 연두색이 조화를 이뤄 1.5평 규모의 아담한 집 형태를 하고 있는 '북성로 호떡' 포장마차. 계명문화대학 돌계단 옆에 자리한 이곳은 멀리서도 독특한 외관 때문에 눈길을 끈다. 박재근(36) 사장은 손님이 끊이지 않는 비결에 대해 "맛과 목"이라고 답했다.

찹쌀 호떡과 만두류, 오뎅 등을 파는 이곳의 주력 상품은 역시나 찹쌀 호떡. 이곳의 독특한 방법은 호떡을 구을 때 일반 식용유가 아닌 채종유(유채씨 기름)를 사용한다는 점. 박 사장은 "식용유를 사용했을 때는 호떡에 잡향이 남는 반면 채종유를 사용하면 잡향이 없고 식어도 부드럽다."고 말했다. 또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트랜스지방에 대한 우려도 어느 정도 불식시킬 수 있다는 것. 오뎅 국물도 좀 남다르다. 보통 무 국물을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이곳은 닭 육수를 사용해 우러나오는 맛이 다르다는 설명이다.

박 사장이 잡은 터도 적중했다. 박 사장은 "돌계단이 약속 장소로 많이 활용돼 기다리는 손님들이 많은데다 대학가 주변이고 인근에 사무실도 많아 고정 고객도 많다."고 했다. 목을 잘 잡기 위해 박 사장은 한 달간 대리운전을 하면서 상권을 확인하는 열의도 보였다.

대구시 중구 서성로에서 10년가량 찐빵 공장을 운영한 박 사장은 오래 전부터 포장마차 식 판매를 계획했다. 박 사장은 "한때 가게에서 장사도 해봤지만 목이 좋은 곳을 찾아 옮길 수 있는 이동식 포장마차가 유리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차량을 이용하면 매일 못하고 단속의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포장마차는 규모가 작아 지게차를 이용하면 바로바로 옮길 수 있다는 판단에서였다. 박 사장은 지난해 12월 900만 원을 들여 마침내 자그마한 포장마차를 꾸몄다.

앞으로 지금 있는 직원 외에 몇 명을 더 구해 포장마차를 24시간 운영할 계획이다. 박 사장은 "현재 정오~자정까지 운영하고 있지만 장사를 오래 하면 할수록 이윤이 많이 남는다."고 전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