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항공방제 실시 놓고 지차제마다 입장 엇갈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 벼 병충해 항공방제 실시를 두고 지자체마다 효용성에 대한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 벼 병충해 항공방제 실시를 두고 지자체마다 효용성에 대한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벼 병충해 항공방제 실시에 대해 지자체마다 효용성을 놓고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포항시의 경우 30일부터 흥해읍을 시작으로 다음 달 8일까지 3억 4천여만 원을 들여 남·북구 지역 8개 읍·면 5천300여ha의 논에 헬기를 동원, 항공방제를 실시한다.

시는 일부 친환경 농업을 실시하는 농민들이 수년 전부터 일률적인 항공방제 중단을 요구하고 있지만 고령화된 농촌사회에서의 부족한 인력과 개별 방제에 비해 농약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항공방제가 효과적이라는 입장이다.

특히 개별 방제의 경우 농가가 자비로 농약을 구입해야 하지만 항공방제는 시예산으로 농약을 살포하기 때문에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시는 또 친환경 벼재배단지인 기계면과 기북면 일부 지역에는 친환경 자재인 키토산을 살포해 고품질 친환경 쌀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이에 반해 영덕군은 항공방제가 고농도의 농약을 쓰는데다 효과가 적고 친환경 농업 정책에 역행한다는 평가에 따라 18년 동안 실시해 오던 항공방제를 올해까지만 실시하고 내년부터 중단하기로 해 대조를 보이고 있다. 영덕의 경우 항공방제 대신 모판농약처리제 방법으로 방제 방식을 변경해 9개 읍·면에 적용하기로 했다.

포항시 농축산과 관계자는 "항공방제의 장단점이 있는 만큼 벼 수확이 끝나는 가을 쯤 농민들을 상대로 의견을 수렴한 후 항공방제 지속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