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2월 18일 중국 땅을 밟다. 무지 맑은 날씨가 환영인파를 대신한다. 나이 37세, 세속인이라면 일가를 이루어 가계를 꾸려야 할 시기, 할 바 팽개치고 이 무슨 해괴망측함인가! 미화하자면 예수의 방황과 석가의 출가와 같은 이유 일게고, 변명하자면 지칠 줄 모르는 도전, 더 알고 싶은 욕망 일게고, 비하하자면 현실도피다.
하직인사, 떠나오는 가슴 가득 눈물이 흘러 엎디어 절 올린 후 부모님 존안을 올려보지 못하겠더라. 자식 키워 공양을 바라지는 않으시겠지만 자식 된 도리로 반포지효(反哺之孝)를 행하지 못함은 금수만도 못한 것이라. 무어라 변명할 수 있겠는가. 죄 깊이 파고들어 심장을 쥐어뜯는데 가쁜 숨 들킬까 염려되고, 내 눈물 비쳐 당신 가슴에 비수되어 꽂힐까 저어하여 감히 눈물짓지 못하겠더라.
이 보다 더 아픈 슬픔을 겪어보지 못했다. 지난 시절 3년 동안 군대에도 갔다 왔고, 중학교졸업하고 혈혈단신 대구 땅에 유학했을 때도 마냥 씩씩하기만 했었다. 그런데 이번의 짧은 떠남은 왜 이리 아픈 것일까?
촌각을 쪼개가며 산 덕분에 배울 것 다 배워 박사라는 허울도 썼다. 이제 충분하다고 애써 위로하지만 나의 위로가 당신의 슬픔을 줄일 수는 없다. 이미 죄인 된 몸, 행적이라도 남겨 후인들의 가는 길에 보탬이 되는 것이 송구함을 더는 유일한 길임은 나도 알고 당신도 안다.
숙명처럼 다가온 중국, 할 일은 하나이다. "설마"를 현실로 만든 중국에서 우리네 살길을 찾아야 한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꿀물이 한반도로 흐르게 골 깊은 도랑을 파야한다. 외줄타기의 옹고집에서 벗어나 우리도 그네를 만들어야 한다. 중국과 미국을 동아줄 삼아, 일본과 러시아를 발판 삼아, 남북한 손잡고 창공높이 오르는 그네를 매어야 한다.
이제 시작이다. 베이징의 첫날 밤, 적진의 찬 공기로 허파꽈리 구석구석을 씻는다. 긴장조차 달콤하다. 묘한 설렘이 가슴에서 사지로 그리고 모공으로 퍼진다. 살 떨림, 짜릿한 전율이 전신을 일주하여 동공을 강타한다. 번쩍 정신이 든다. 무심히 보고 있는 기숙사의 새하얀 벽, 감정을 갈무리하고 현실을 직시하자. 힘내라 이정태!
이정태(경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