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방폐장 지원사업 미흡…'로봇랜드' 경북 유치 명분

경주·포항 국책사업 신청…산자부 설득가능 '총력전'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방폐장)은 로봇랜드를 신청한 경주에 약이 될까, 독이 될까?

로봇랜드는 경북도가 역내 전자·정보기기, 신소재 부품 등을 기반으로 지능로봇을 연구 개발하고 도내 중추산업으로 발전시키겠다며 경주시와 포항시를 묶어 공모를 신청한 국책사업, 선정되면 5조 원이 투입되고 국내 로봇산업을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대구광역시와 인천, 경기도 등 전국 10개 시·도가 신청, 치열한 접전을 벌이고 있다. 예비사업자 선정은 이달 말쯤 있을 예정.

경북도는 포항엔 이미 로봇산업 인프라가 상당히 구축돼 있고, 경주에는 연간 1천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등 모든 면에서 타지역보다 비교우위에 있어 최적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경주시가 기대를 갖는 것은 로봇랜드 업무 소관부처가 방폐장을 관할하는 산업자원부라는 점이다. 참여정부 최대 치적이라는 방폐장 문제를 경주시민이 나서 해결해 준 만큼 산자부가 경주 손을 들어 주어야 한다는 것.

지난주 열린 경주시의회 간담회에서도 이런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다. 시가 로봇랜드 공모신청을 보고하자 최학철 의장은 "산업자원부는 방폐장 지원사업으로 55건, 3조 5천억 원을 경주에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로는 7건 정도에 불과하다."면서 "이에 따른 경주시민들의 실망과 허탈감이 크므로 산자부는 로봇랜드 사업을 반드시 경주에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의장은 또 "신월성 원전 1, 2호기와 방폐장 사업 등 정부의 산적한 현안들이 경주에서 진행되고 있어 산자부가 현명한 판단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까지 말했다.

답변에 나선 김경술 경주시부시장도 "방폐장과 양성자가속기,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본사 이전 등 3대 국책사업을 유치한 경주가 또다시 국책사업 유치에 나선 것은 짐이 될 수도 있지만 방폐장 지원사업을 시원하게 해결해주지 못한 산자부가 이 업무의 소관부처라는 점은 다소 희망을 갖게 하기도 한다."면서 산자부와 얽힌 양면성을 수긍했다.

경주·최윤채기자 cy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