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범안로' 매입 무료화 검토

"재정지원보다 사들이는 게 되레 이득"…시의회 요구

대구시가 만성적자에 허덕이는 민자 유료도로인 '범안로'(대구 수성구 범물동~동구 율하동·7.25km)를 2천억 원에 매입, 무료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대구시의회의 통행요금 무료화 주장에 따른 것으로 현재 대구경북연구원이 이에 대한 사업분석 검토를 하고 있는데 대구경북연구원은 23일 공청회와 9, 10월 두 차례 자문회의를 한 뒤 범안로 매입 여부에 대한 최종의견을 낼 계획이다.

대구시는 범안로 민간사업자인 대구동부순환도로(주)와 맺은 실시 협약에 따라 매입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범안로 매입이 시 재정과 시민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용역 결과가 나오면 이를 구체화하겠다는 것.

동부순환도로(주)도 대구시가 매입을 요청하면 적극적으로 협의를 하겠다는 자세다. 이종남 동부순환도로(주) 사장은 "매년 엄청난 재정을 지원하고 있는 대구시의 입장을 외면할 수 없지 않으냐."며 "실시 협약서에 따라 산정하면 범안로의 매각 대금은 2천억 원쯤 된다."고 말했다.

따라서 대구시의 범안로 매입 여부는 대구경북연구원의 용역 결과에 따라 판가름날 전망이다. 대구시가 범안로 개통 후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435억 원(1년 평균 109억 원)을 민간 사업자에게 재정 지원한 점을 감안하면 시는 남은 통행료 수입보장기간(2007~2022년) 동안 1천744억 원을 추가 지원해야 한다. 이처럼 앞으로 부담해야 할 전체 재정 지원금이 범안로를 사들이는데 드는 비용과 비슷하게 나올 경우 매입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것.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4차순환도로 범물~상인 구간(민자)과 안심~지천 구간(한국도로공사)이 연결되는 2016년 이후에는 범안로 이용차량 증가로 통행료 수입을 보장해주지 않아도 돼 남은 기간 동안의 재정지원 부담이 1천142억 원으로 줄 가능성도 크다"며 "사업 용역 결과에 따라 매입여부에 대한 방침이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한편 사업비 2천234억 원(민자 1천683억 원, 시비 571억 원)으로 2002년 9월 1일 전 구간 개통된 범안로는 건설 계획 당시 통행량을 잘못 예측하면서 매년 적자를 내고 있다. 범안로 민간 사업자는 개통일로부터 24년간(2026년 8월 31일까지) 통행료를 징수하며, 대구시는 2022년 8월 31일까지 20년간 추정 통행료 수입의 90%(2005년 6월 1일 이후부터는 79.8%)를 민간 사업자에게 보장하기로 협약을 체결했다.

김교성기자 kg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