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쪽에서 동쪽으로 주소가 바뀌고 나서 나는 자주 수성못을 찾는다. 못은 아파트들이 즐비한 이 도시의 허파 같기도 하고 딱 들어맞는 문장 안에 찍힌 방점(傍點) 같기도 하다. 반짝이는 물비늘과 물 속에 몸 빠뜨린 나무들의 그림자와, 원색의 운동복을 입은 사람들 무리 무리가 못의 풍경을 완성시킨다.
번들거리는 수면은 과거도 미래도 추억도 회한도 다 받아들인다. 더구나 가을의 못물은 온몸을 하늘에 포갠 채 아주 고즈넉하게 깊어간다. 우수에 젖은 나무들과 시월의 하늘도 잠시 수면 아래 잠기는 듯 보인다. 그 아래 도시의 불빛도, 이 시대의 무성한 말들도 용광로처럼 모두 녹여 인간이 범접할 수 없는 녹색의 살갗을 수면 위로 밀어올리는 것이다. 그리하여 수만 개의 물비늘들이 내게로 밀려와 다시, 수만 개의 떨림으로 스며드는 것이다.
저물녘 못가에는 불빛과 정적만 남고 아주 뜨거운 것들이 내 정신으로 흘러들어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럴 때마다 나는 고요한 마음의 평정을 얻곤 한다. 문학을 포함한 모든 예술의 출발점은 결핍이고, 혼돈과 고독으로부터의 피안이 아니라 초극이겠지만, 문학을 통해서 내가 가지고 싶었던 것의 궁극 역시 정신의 평정이 아니었을까.
내 시가 빛들이 난무한 차고 단단한 수면 위에 피워 올렸던 수련의 상징은 결국 문학을 통해서 표출하고 싶은 언어이며 도달하고 싶은 피안이었을 것이다.
'…아주 작은 호수 하나를 가졌다네/ 한 주먹 안에 쏘옥 들어오는 우주 같은 거/ 손으로 싸안으면 손바닥 가득 환해지는, 아주 작은/ 호수 하나를 가졌다네/ 운무와 달빛, 그리고 조그만 봉분 하나/ 햇빛과 수초, 닳아서 헐렁해진 오래된 세월에 대해서/ 낮고 더운 목소리로 그는 말한다네/…/ 빛들이 난무한 차고 단단한 수면 위에/ 막 불 붙인 촛불 같은/ 그 뜨거운 육즙 같은, 그리하여 발그레 우주가 달아오른다네….('수련'중에서)
수성못에는 휴식을 즐기는 많은 시민들과, 슬쩍 마음의 현을 건드리고 스쳐가는 바람과 물비늘들, 그리고 생에 대한 경외심으로 가득 차 있던 어느 날의 내가 있다. 그러므로 나는 운무와 달빛 그리고 닳아서 헐렁해진 오래된 세월에 대해서 낮고 더운 목소리로 말하는 호수를 만날 수 있었을 것이다.
꽉 차거나 공허하게 비어있는 땅의 상처, 아니 지친 몸 쉬어가라는 쉼표 같기도 하고 딱 맞는 곳에 찍힌 방점 같기도 한 못의 둑길에는 아마, 어제보다 더 서늘한 가을바람이 불고 있을 것이다. '…바람이 분다, 살아봐야겠다….'던 발레리의 시가 문득문득 귓가를 스치는 가을날이다.
송종규(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