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공의 얼굴
최재목
세수하다가 문득 두 손에 든
물을 바라보다가, 물 한줌 쥔 동안 비치다 깨어지고
다시 짜 맞춰지는 나를 보았네, 두 손과 얼굴 사이에서
은밀히 살아남은 허공의 물방울
물 한줌 쥘 동안 비치는 이목구비
그것마저 놓쳐 버리면 낱낱이 분해되거나
세상으로 흘러다닌 얼굴을 보았네
자신을 잊을 때까지 두 손과 얼굴 사이에서
떠오르다 가라앉는 물방울, 그러다가 그러다가
당장에 무슨 뾰족한 수도 없이
아주 잊혀져가는 얼굴을 보았네
제아무리 잘난 사람이라도 제 얼굴을 제가 볼 수 없다. 천수관음처럼 손가락에 눈을 붙이지 않는 한 제 얼굴을 제가 볼 수 없다. 우습지 아니한가. 제 얼굴도 제대로 못 보면서 우주 너머를 보려 꿈꾸고 있으니.
사람은 제 얼굴을 이미지로만 볼 수밖에 없다는 사실. 이미지가 실제라고 믿는 사람들의 어리석음. 그 어리석음이 瞥眼間(별안간 : 눈 깜박할 동안)에 불과한 짧디 짧은 생애를 영원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게 아닌가.
그런데 나는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 오늘 문득 움켜쥔 세숫물에 진실의 이목구비가 잠시 비쳤다 사라진다. '떠오르다 가라앉는 물방울'처럼 사라지는 내 진실한 얼굴. 붙잡아 고정시키고 싶지만 '당장에 무슨 뾰족한 수'가 없으니 '아주 잊혀져 가는 얼굴을' 다만 지켜볼 수밖에.
장옥관(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