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경제부의 경제자유구역(FEZ) 평가단이 25일 대구·경산·구미 등지에서 경제자유구역 신청지 현장실사를 한데 이어 26일 강원 삼척·동해를 마지막으로 5개 신청 지역의 실사가 모두 끝나면서 대구시와 경북도는 FEZ 지정을 위한 막바지 총력전에 나선다.
재정경제부 관계자 및 15명의 FEZ 평가위원들은 25일 대구 인터불고 호텔에서 대구시·경북도, 지역 경제계 및 학계, 정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총괄설명을 듣고 국제패션디자인지구(이시아폴리스)와 경산학원연구단지(청통·와촌IC 주변), 구미디지털산업지구(구미 국가4단지 주변) 등지에서 3시간가량 실사를 벌였다.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평가위원들에게 "내륙권인 대구·경북의 경제사정이 아주 어렵다. 지식기반의 새로운 FEZ 모델을 반드시 성공시키겠다."고 다짐했다.
평가위원들은 대구·경북의 경제자유구역안이 대구와 구미, 경산, 영천 등 모두 10개 지구(34㎢)에 분산된 점과 향후 외자유치와 대학유치, 교류협력 방안 등에 집중적인 질의를 펼쳤다.
한편 다음달 10일 전후로 발표될 FEZ 지정을 위해 시·도는 추가 자료와 외자유치계획 등을 보완해 이번 주중으로 환경부와 환경 사전타당성 검토, 건설교통부와 광역교통망 구축에 대해 협의를 할 계획이다. 또 이강철 청와대 정무특보와 김병준 청와대 정책기획위원장에게도 지원을 요청키로 했다.
시·도는 정부·여당이 국제공항과 국제항만이 없어도 FEZ 지정이 가능토록 한 '경제자유구역 법령 개정안'을 통과시킨 것은 해안편향의 개발에서 벗어나 내륙권 개발을 통한 국토균형발전 노력의 일환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다.
대구·경북민들도 세제지원과 투자유치 등을 통한 2단계 국토균형발전법(국균법)이 지방에 실질적인 혜택을 가져다 주고 서남해안축 중심의 개발에서 소외된 대구·경북 내륙권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도 대구·경북 FEZ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강철 청와대 정무특보는 "정부가 3곳을 FEZ로 지정하면 대구·경북의 지정가능성이 크지만 2곳으로 할 경우 우려되는 부분도 없지 않다."며 "측면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대구 경제계 한 대표는 "노무현 정부가 국토균형발전을 모토로 하고 있는 만큼 20여 년 동안 대형 국책사업에서 소외됐던 대구권에 FEZ가 지정되면 현 정부에 대한 섭섭함과 오해를 불식시킬 절호의 기회다."며 "서울 영등포세무서 세수보다 적은 대구·경북권에 대한 정부의 관심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