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최소한 문화기반시설, 인적 자원, 문화정책은 갖추어져야 가능하다. 현재 대구에는 시나 구에서 관리하는 많은 문예회관들이 있다.
시에서 문예회관을 운영하는 목적은 문화예술도시를 빛내기 위한 전문공연장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이고, 구 단위에서 문예회관을 운영하는 목적은 구민들의 문화적 욕구충족과 다양한 문화적 스펙트럼을 반영하기 위해서일 것이다.
전국적으로 볼 때 문예회관 숫자로는 대구가 최고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문화예술의 수준이 전국 최고라고 하기에는 아직 부족하다. 문제는 기술적인 여건이 제대로 된 공연장이 별로 없고, 공연장의 특성을 운영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 문예회관들이 독립적인 운영에만 신경 썼지 문예회관 간의 유기적인 업무협의와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물론 저마다 최고의 문예회관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생활권인 대구를 무시한 채 반복되는 행사와 중복되는 기본계획을 세운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
대구는 하나의 생활권이다. 대구 전체의 입장에서 거시적인 문화계획을 추진하면서 문예회관들의 독립적인 운영을 존중하고, 문예회관들 간의 이해관계와 의견을 조정할 조정자의 역할이 필요하다. 이것이 문예회관협의회 구성의 이유다. 실제로 몇 년 전 각 문예회관 기획자를 중심으로 이런 모임을 구성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추진과정에서 유야무야되고 말았다.
현대사회는 문화예술의 다양성을 요구하고 있고 이것이 문화경쟁력의 기본바탕이 될 수 있다. 문예회관들이 비슷한 프로그램을 중복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문예회관 간의 무분별한 경쟁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다. 동일한 생활권내의 문화적 경쟁은 중복투자와 부실한 운영을 야기할 수 있다.
얼마 전 대구시에서 뮤지컬 전용극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공연장이 하나 더 생기는 것은 공연예술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환영한다. 그러나 지금은 공연장을 짓는 것만 생각할 때가 아니다. 운영에도 내실을 기할 때다. 대구가 지금까지 공연장이 없어서 공연을 못 하지는 않았다. 공연장의 효율적인 운영도 생각하기를 바란다. 문화예술정책을 주관하는 부서와 여러 문예회관들이 같이 모여 대구 전체를 염두에 두고 운영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지금은 이 많은 문예회관을 어떤 콘텐츠로 채울 수 있을지 고민할 때이다.
최주환(극단 마카 대표)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
현직 검사장, 검찰총장 대행에 "정권에 부역, 검찰에 오욕의 역사 만들었다…사퇴하라"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