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득 국회부의장(포항남·울릉)이 25일 오전 후보등록을 마치고 본격적인 총선행보에 나섰다.
이 부의장과의 동반사퇴론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던 이재오 의원(서울 은평을)도 25일 기자회견을 갖고 출마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이 부의장의 출마를 둘러싼 이 의원과의 권력다툼양상이 마무리됐다.
이 의원은 25일 오전 자택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모든 오해와 음해를 뚫고 정권교체의 참뜻을 실현하는데 내 전부를 바칠 것"이라며 출마를 선언했다.
이에 따라 이 의원과 친한 수도권 소장파들이 지난 23일 뒤늦게 제기하고 나선 '대통령 형 공천' 문제를 둘러싸고 불거졌던 당내홍 사태는 수습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 부의장은 이 의원의 출마 입장이 결정되기 전까지도 '자신의 출마가 이 대통령에게 누가 될 것'을 고민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이날 후보등록에 앞서 배포한 '국민과 지역구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박희태 전 국회부의장과 김덕룡 의원 등 많은 원로중진과 당의 인재들이 공천을 받지못한 것을 보고 안타깝고 그분들에게 인간적으로 정말 괴롭고 미안한 마음뿐"이라면서 "앞으로 사심없이 일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의장은 "18대 국회에 들어가면 당직과 국회직은 일절 맡지 않겠다"면서 "당의 원로로서 당내 화합과 단결에 갈등이 생겼을 때 조정해주는 것이 내 역할이고 혹시 청와대에 전달할 일이 있으면 직언도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 의원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사이가 나쁜게 아니며 경쟁관계도 아니고 보완관계에 있다"며 자신은 권력이 필요없는 사람이기 때문에 그와 경쟁할 일이 없다고 말했다.
이처럼 이 부의장과 이 의원이 동반 출마키로 입장을 재정리함에 따라 권력다툼양상으로 번졌던 한나라당 공천파동은 이 부의장의 판정승으로 마무리됐다. 관심거리는 이 의원의 출마 여부가 아니라 싸움의 승패가 확실해졌다는 점이다.
이 의원으로서는 지지율에서 밀리고 있는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와의 대결이 더 문제다. 이번 총선에서 원내진출에 실패할 경우 차기 전당대회를 통해 당권을 장악하겠다는 그의 계획은 틀어질 수 밖에 없다. 그가 설사 당선되더라도 이 부의장에게 기울어진 권력추는 이 의원을 계속 압박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 부의장의 불출마를 요구한 수도권 친이소장파들이 하루만에 꼬리를 내린 것도 그 때문이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