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MB체제 급물살…'복당' 내분 불씨

한나라당은 이번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확보, 국회를 장악하게 됨으로써 일단 향후 정국운영의 주도권을 갖게 됐다. 보수 정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 여소야대를 이끌어낸 것은 1985년 민주정의당 이후 23년 만이다. 여권은 과반의석 달성으로 행정부와 지방정부에 이어 의회 주도권까지 차지한 셈이 됐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의 각종 개혁정책 추진 의지와 맞물려 한나라당에 대한 이 대통령의 친정체제 구축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당내에 친이 측 신주류의 본격적인 부상도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텃밭으로 꼽혔던 대구·경북 등 영남권에서 박풍에 밀려 예상 밖의 고전을 함에 따라 새로운 문제를 안게 됐다. 우선 공천책임 문제를 둘러싼 친이 친박 간의 갈등이 재연될 수 있다. 친박 측은 자신들과 맞붙은 한나라당 후보들이 대부분 낙선한 것은 공천이 잘못된 것임을 증명하는 것이라며 공격의 수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공천을 주도한 이방호 사무총장과 친이 좌장인 이재오 의원 등이 낙선, 명분에서 밀리게 된 친이 측이 이런 공격에 대항하는 논리를 마련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게다가 한나라당은 153석으로 과반 의석(150석)을 가까스로 턱걸이함으로써 당 공천에서 탈락한 뒤 탈당, 출마했던 친박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에서도 친박 측에 끌려갈 가능성이 높다. 친박연대와 친박 무소속 당선자들이 합류하게 되면 한나라당은 국회 전체 상임위를 주도할 수 있는 절대안정 과반수인 168석을 넘어서게 된다. 하지만 복당 인사를 포함한 당내 친박 의원이 30여명 수준으로 늘어나면서 비주류 진영을 형성할 경우 친이 측은 '적과의 동침'이라는 불편한 상황을 맞을 수밖에 없다. 때문에 수도권 중심의 신주류(친이)와 영남권 중심의 구주류(친박) 간 동거, 이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 간의 협력체제 구축 가능성도 점쳐진다.

그러나 친박 성향 당선자들의 복당이 이뤄지지 않게 될 경우 한나라당은 이 대통령의 친정체제 구축에는 더욱 탄력을 붙일 수 있으나, 불안한 과반 의석 때문에 정국운영 과정에서는 한계에 직면할 수 있다. 한반도 대운하 사업 등 쟁점 현안들의 추진 과정에서 당내 비주류인 친박 당선자들과 탈당했던 친박 당선자들이 공조할 수도 있다. 이 대통령으로서는 원하지 않는 정치지형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들과 맞물려 당 지도부 선출을 위해 7월로 예정돼 있는 전당대회의 향배가 주목된다. 친이 세력의 독주체제가 굳어질 것인지, 아니면 친박세력 등 비주류와의 협력체제가 구축될 것인지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친이 실세들 간의 경쟁 양상까지 가열될 경우 한나라당 내 권력투쟁은 더욱 복잡하게 전개될 것이다.

친박 성향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와는 별개로 안정적인 정국운영을 명분으로 범보수 정계개편이 모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통합민주당에서는 한나라당이 개헌가능 의석(200석)을 겨냥한 정계개편을 도모할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