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학업성취도 평가 연말 공개…학교간 과열 경쟁 우려

올해부터 학업성취도 평가 대상이 확대된 가운데 교육과학기술부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연말부터 공개할 방침이어서 학교간 학력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교과부는 지난해 5월 제정된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의 후속조치로 시행령을 제정하기 위한 정책연구 결과를 31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성적 공개와 관련해 매년 초중고교 학업성취도 평가를 공시 대상으로 하고 공시 방법을 5가지로 제시했다.

공개 방법은 ▷단위학교의 과목별(국어·사회·수학·과학·영어 등 5개 교과목) 평균점수 ▷단위학교의 4개 등급 성적(우수·보통·기초·기초미달) ▷단위학교의 3개 등급 성적(보통 이상·기초·기초미달) ▷단위학교의 기초학력 도달 비율 ▷지역(시·도)교육청 단위 4개 등급 성적 등이다.

교과부는 1일 서울에서 공청회를 통해 이 중 한 가지 방안을 결정, 다음주에 시행령을 입법예고하고 10월 중 시행령 제정이 완료되면 올 연말부터 각 학교에서 이를 시행토록 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10월엔 전국의 모든 초6, 중3, 고1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요 5개 과목의 실력을 확인하는 학업성취도 평가 시험이 치러진다. 과거에는 표본 추출된 3%의 학생들만 치렀으나 올해부터는 모든 학생들로 확대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공개와 맞물려 학교간 성적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교과부의 이 같은 방침에 학교들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대구 중구 B중학교 교사는 "최근 방학인데도 보충수업을 하는 중학교들이 많이 늘어난 것도 이 같은 성적 공개를 염두에 둔 것"이라며 "다른 학교들에 뒤처지지 않으려고 학교에선 교사나 학생들을 더욱 압박할 것이고 그에 따른 성적 스트레스는 더해질 것"이라고 했다.

대구의 경우 수성구 쏠림현상이 더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다. 북구 A고교 교장은 "학교별 성적이 어떤 식으로든 공개되면 학교들이 성적 올리기에 더욱 열을 올릴 수밖에 없다"며 "자칫 대학처럼 초중고가 서열화돼 학교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뚜렷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