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독도연구소가 정부의 독도 유인화 정책과 관련해 독도를 '동아시아의 두바이'로 개발하자는 방안을 담은 제안서를 정부에 제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독도연구소는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강화하기 위한 8가지 정책 대안을 담은 '독도문제 이슈페이퍼'를 최근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이슈페이퍼에는 독도연구소 조계현 교수(신소재공학부)의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독도 영유권 공고화 방안'이 핵심이다. 독도 옆에 여러 개의 부유구조물(Barge Mounted Plant)을 만든 뒤 이를 서로 연결해 '독도 유인화'를 해결하자는 것이 포인트.
조 교수가 제안한 부유구조물은 총 면적이 340만㎡(약 100만평) 규모로, 산업 및 생산시설인 해양플랜트와 5만명 가량이 거주할 수 있는 해상정주공간, 그리고 공항과 항만시설 등 3개의 부유구조물을 서로 연결해 이를 다리 등을 통해 독도와 연계시키자는 것. 두바이와 같은 '인공섬'을 만들자는 얘기다.
그는 해양플랜트에는 해양심층수 생산시설과 차세대 대체연료인 메탄하이드레이트 생산시설, 담수화설비, 심층수를 활용한 해양목장, 심층수를 이용한 BT 시설 등을 넣고 정주공간은 아파트용 콘도미니엄과 호텔, 리조트, 사무실 등으로 채울 것을 제안했다.
조 교수는 "독도 동도와 서도를 매립을 통해 연결하자는 한나라당의 방안은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실효성이 없을 뿐 아니라 자연훼손 등의 부작용이 많다"고 지적하고 "독도는 건드리지 말고 인근에 인공섬을 만들어 유인화하는 방안이 가장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현재 우리나라 해양구조물 기술력으로 8년 정도의 공사기간이면 충분히 완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또 공사비용은 약 2조원 가량이 들 것으로 보는데, 이는 국내외 민간자본투자사업(BTL)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연구소는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및 독도전담팀 운영 ▷시마네현 '다케시마문제연구회' 최종보고서 및 일본 외무성 논리에 대응하는 연구 및 논리 개발 ▷독도연안의 환경 및 생태계 관리방안 강구 등 7가지 영유권 강화 방안도 제안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