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10일 선도산업에 이어 11일 확정·발표한 차기 지역별 전략산업들은 유망 업종들을 중심으로 지역간에 상당수 유사하거나 중복된 것으로 드러났다.
전략산업은 비수도권의 13개 시·도를 대상으로 시·도별 2~4개씩 지정됐다. 그러나 앞서 발표된 선도산업 계획의 경우 수도권을 포함한 5+2 광역경제권별로 핵심산업을 1, 2개씩 배치한 것이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특정지역의 선도산업은 그 지역의 전략산업들중 핵심적인 산업이거나 전략산업과 다를 수 있다"며 "전략산업과 선도산업이 중복되더라도 예산 투입은 별개 차원에서 이뤄진다"고 덧붙였다.
전략산업들의 지역간 유사 혹은 중복문제와 관련, 대구의 전략산업들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생물(기능성 바이오 소재)산업의 경우 대전과 충북·전북·경남·강원·제주에다 같은 광역권인 경북 등 7개 시·도에서 상당수준 비슷한 업종으로 포함돼 있다.
전자정보기기산업(모바일)도 대구는 경북(모바일+디스플레이)과, 경북은 충남(디스플레이)과 겹쳤다. 메카트로닉스산업의 나노 소재 부문은 대전과 중복됐다. 대구의 전략산업 4개 중 다른 지역과 비슷하지 않은 것은 섬유(하이테크 섬유소재) 산업뿐.
경북에서는 전자정보기기(모바일+디스플레이)산업과 생물·한방산업에 이어 또 다른 전략산업인 신소재 부품(자동차)산업도 충남·광주·전북·부산·울산 등에 포함돼 있다.
차기 전략산업의 총 예산은 금년부터 오는 2012년까지 2조23억1천만원이며 이중 국비 1조1천353억3천만원·지방비 5천904억2천만원·민자 2천765억7천만원이다. 시·도별 예산액을 비교하면 울산이 1천918억3천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1천907억2천만원, 경북 1천741억원, 충남 1천625억2천만원, 전남 1천574억원 등의 순이었다.
대구의 경우 총 예산이 1천473억9천만원으로 9위였으며, 이중 국비 811억5천만원·지방비 435억3천만원·민자 227억1천만원이었다.
경북은 총 1천741억원중 국비 1천24억2천만원·지방비 484억9천만원·민자 231억9천만원이다.
서봉대기자jinyo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