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분야에 여성 파워가 드세다. 행정안전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정부 부처 내 국가직 공무원 중 여성 공무원은 전체의 45.2%인 27만2천600여 명으로 나타났다. 1998년 33%에서 12.2% 포인트나 높아졌으니 놀라운 증가세다.
이 같은 수적 확대는 무엇보다 2003년 공무원 兩性(양성) 평등 채용목표제 도입으로 여성 합격률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반직 공무원 신규 채용에서 여성 합격률은 10년 전 23.4%에서 지난해 45.2%로 늘었고, 외무고시도 16.7%에서 67.7%로 경이적인 합격률을 보였다. 남성 역차별 소리가 나올 만한 상황이다.
특기할 만한 흐름으로는 남성 영역으로 인식되던 검찰'경찰'공안 등의 분야에 여성들이 대거 진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성 검사의 경우 10년 전 전체의 1.6%(17명)에서 작년엔 13.6%(220명)로 무려 8배 이상 치솟았다. 검찰사무와 마약 수사직, 교정'보호관찰, 외교 등 남성이 주류를 이루던 분야에서 性(성)의 장벽이 급속하게 무너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같은 여성들의 활발한 공직 진출을 뒤집어 생각하면 씁쓸한 면도 없지 않다. 고학력화와 함께 취업을 원하는 여성들은 크게 늘고 있지만 공무원 등 소수의 직종 외엔 선택 폭이 그만큼 좁기 때문이다. 여성 공무원 대다수가 하위직에만 몰려있을 뿐 상위직 관문이 좁은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09년부터는 공무원 공채 응시 연령 상한선이 폐지돼 고학력 여성들이 대거 공직에 도전할 전망이다. 더욱 활발해질 여성 공직 진출에 맞춰 승진 문제, 출산 및 육아 휴가 등 제도적 장치들을 살피고 허술한 부분들은 개선함으로써 질적 성장 또한 도모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