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정부의 산업용 전기료 인상 조치에 따라 포항의 철강업계가 판매난에 이은 원가부담 증가로 울상을 짓고 있다. 주요 철강 대기업들은 이번 조치로 전기료만 월평균 20억~30억원 가량 더 물게 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삼성전자(연간 4천937억원)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현대제철은 지난해 4천억원의 전기료를 납부했는데 현수준으로 조업할 경우 올해 376억원을 더 내게 됐다. 지난해 2천339억원을 낸 포스코는 220억원, 세아베스틸 68억원, 동국제강 53억원 등 포항공단 주요 철강사들 대부분이 이번 인상으로 적지 않은 액수의 전기료를 추가 부담하게 됐다.
포항공단 한 업체 관계자는 "수요감소로 매출부진 및 이익감소 또는 적자전환 등 경영난에 처한 철강업계가 치명타를 입고 있다"며 "이번 전기료 인상조치가 감산 규모를 더욱 확대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포항공단 한 철강사 대표는 12일 "재고 누진으로 조업량 추가조정(추가감산)을 검토하는 시점에서 전기료 인상방침이 나와 다음주부터 일부 라인의 생산량을 더 줄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포항공단에서는 생산라인의 감산조치와는 별도로 전기료와 도시가스료 인상 방침 발표와 동시에 사무실 전등 격등제, 컴퓨터 모니터 끄기, 필요한 경우에만 전원이 들어오는 센서 부착 등 다양한 절전운동이 시작돼 업계가 느끼는 위기 정도를 실감케 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 이진숙 21.2% VS 김부겸 15.6%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