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통령도 여야도 民生 앞에 반성해야

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취임 후 첫 신년 국정연설을 했다. 올해 국정운영의 4대 기본방향에도 담겨 있듯 '경제와 민생'을 올해 국정의 화두로 내세웠다. 경제 위기감으로 인해 몸이 절로 움츠러드는 상황에서 국정의 중심을 위기극복과 민생 안정으로 잡은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대통령이나 여야 정치인들이 과연 민생을 깊이 걱정할까 의구심을 갖는 게 국민들의 솔직한 심정이다.

대통령은 연설 중 '위기'를 비롯한'경제''일자리'와 같은 용어를 무려 55차례나 사용했다. 이를 봐도 대통령으로서 해야 할 일이 무엇인가를 절감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렇지만 대통령의 말과 실천 의지가 동일한 무게인지, 잘못된 점을 확 바꾸고 민생을 수렁에서 건져낼 수 있을지 좀체 확신이 들지 않는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야당은 "겉과 속이 다른 빈 껍데기 연설"이라며 비판만 해댄다.

대통령이 국회의 협력을 언급한 데 대해 "국정 난맥상에 대한 자기 반성 없이 국회 탓만 하고 있다"는 민주당의 논평도 낯 뜨겁다. 쟁점 법안을 놓고 한 치 양보도 없이 밀어붙이고 생떼거리나 쓰는 바람에 국정이 파국 일보 직전인데도 여야 정치인들은 지금 제 잘났다고 얼굴을 치켜들고 있다. 입은 비뚤어져도 말을 바로하랬다고 대통령이 왜 신망을 잃고 있는지, 여야가 왜 국민들에게 '공공의 적'이 되고 있는지 자기비판부터 하는 게 우선이다.

말로만 없는 사람들 사정을 이해한다고 떠드는 정치 지도자에 대한 불신감이 얼마나 깊은지를 알아야 한다. 국민들은 지도자들이 경제 위기에 서민들이 왜 불안해하는지 살피고, 공직자들이 헌신하며 일이 될 때까지 노력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한다. 대통령과 여야 정치인, 공직자들이 먼저 희생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비웃음이나 사는 싸구려 정치가 아니라 도탄에 빠진 민생을 도닥이는 '따뜻한 국정'이 될 수 있다. 국민들이 정치를 내동댕이 치기 전에 지도자들은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