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MBC, 공영방송 지키려면 파업 끝내야

엄기영 MBC 사장이 어제 미디어법 개정에 반대하는 노조 측에 파업을 중단하고 업무에 복귀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같은 날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도 불법파업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의 촉구가 아니라도 MBC는 공영방송을 지키고 또 스스로의 이익을 위해 이쯤에서 파업을 중단하는 것이 옳다.

미디어발전국민연합은 MBC의 파업 이후 뉴스데스크 앵커들의 파업 지지 발언에 대해 심의해 달라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요청했다. 공정언론시민연대도 MBC가 미디어법 개정 관련 뉴스에서 개정에 반대하는 학자의 발언을 28회, 노조와 시민단체 발언을 20회씩 내보내면서도 찬성하는 목소리는 거의 소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MBC가 스스로 공정성과 중립성을 표방하면서도 뉴스에서는 방송을 편파적이고 사적으로 이용한 것이다. MBC가 파업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는 공영방송 지키기와는 정면으로 모순되는 것이다.

지금 MBC는 四面楚歌(사면초가) 상태다. 케이블TV와 위성TV에다 DMB에 이어 올부터 본격 방송에 들어간 IPTV까지 MBC를 위협하고 있는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내부적으로는 엄청난 투자가 필요한 디지털 방송 체제로의 시설개선이 발등의 불이다. 그런데다 방송의 존폐를 좌우하는 광고시장은 경제위기로 절대 공급량마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노조 측은 미디어법 개정이 정부의 방송 장악으로 이어져 여론의 다양성은 사라지고 방송의 공영성도 없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현재의 공영방송 체제는 사실상 정부가 언론을 장악하기 위해 5공 당시 만들어진 법이다. 이를 그대로 이어가자고 주장하는 것은 공영방송을 하겠다는 의지도 아니며 방송통신 융합 시대에 미디어 산업의 경쟁력을 위해서도 맞지 않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