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지도부, 책임론 후폭풍

쟁점법안의 임시국회 회기내 처리가 무산됨에 따라 한나라당내에서 홍준표 원내대표 등 지도부에 대한 인책론이 제기되는 등 후폭풍이 일고 있다. 이같은 당내 사정은 취임 1주년을 앞두고 이명박 대통령이 단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내각개편 등 여권진용 개편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에서는 이미 홍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의 책임론과 사퇴설이 흘러나오고 있다. 홍 원내대표는 이미 여러차례 쟁점법안 처리만 끝내면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쟁점법안 처리가 2월 국회로 미뤄지거나 여야협상이 뜻대로 되지 않았을 경우, 쟁점법안처리 이전이라도 홍 원내대표가 전격사퇴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친이계인 공성진 최고위원은 5일 홍준표 원내대표와 박희태 대표의 동반책임론을 제기했다. 공 최고위원은 5일 저녁 한 라디오프로그램에 출연, "결과에 책임지는 게 지도부의 자세, 정치인의 자세가 돼야 한다"며 쟁점법안 처리에 대한 원내대표의 책임론을 주장했다. 그는 이어 "원내대표뿐 아니라 박 대표를 비롯한 우리 최고위원들도 강한 책임감을 통감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홍 원내대표는 6일 "이번 임시국회 회기연장을 해서라도 협상이 타결되면 우리가 해야 할 일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의 언급은 이번 임시국회의 회기 연장을 통해 여야 협상을 계속 벌이되 최종 결렬될 경우에는 김형오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을 다시 시도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당주변에서는 홍 원내대표가 1월 국회 회기연장까지 시사하고 나선 것은 여야협상에서 2월 국회처리에 대한 야당측의 양보 등 가시적인 성과가 없으면 1월 국회 강행처리를 재시도하고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배수진을 친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홍 원내대표의 조기사퇴를 기정사실화하고 친이측에서는 정의화 의원, 친박측에서는 김무성 의원 등이 벌써부터 차기 원내대표 경선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

쟁점법안 처리문제에 대한 김 국회의장의 처신에 대한 여권의 불만이 높아지면서 여권과 김 의장 사이에 갈등이 구체화될 가능성도 있다. 한나라당이 자당 출신인 김 의장을 불신임하는 일은 없겠지만 야당측이 제기한 김 의장의 고소 등에 대해 방관자적 자세를 취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법안처리 실패에 대한 친이와 친박간의 시각차가 노정되면서 5일 박근혜 전 대표의 법안처리 실패에 대한 당 지도부 비판발언을 불씨로 계파갈등이 촉발될 조짐도 보이고 있다. 여야협상이 완전결렬될 경우, 여권내 갈등은 여러갈래에서 수면위로 노출될 것으로 보인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