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남권 신공항 건설 안심할 상황 아니다"

영남권 신공항 건설 주관부서인 국토해양부를 비롯한 정부 내 일각에서 영남권 신공항 건설에 대한 부정적인 분위기가 여전히 강한 것으로 알려져 영남권 5개 지방자치단체가 제2허브공항 건설확정 촉구와 입지승복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하루빨리 맺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 영남권 5개 지자체 공항담당 국장, 자문위원 등은 13일 국토연구원에서 '영남권 신공항 개발의 타당성 및 입지조사연구'와 관련된 연석 연구협의회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서 국토연구원과 정부 실무진들은 "영남권 신공항 건립에 대한 1차 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있다고 분석됐지만 기존 모든 지방공항의 적자에다 인천공항 활성화 등의 이유로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며 영남권 지자체들의 강한 의지 표명과 함께 통일된 접근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자들은 또 "실무진들 사이에서도 반대론이 만만찮다. 특히 입지 때문에 영남권이 싸우는 표시를 내면 안 된다. 영남권이 똘똘 뭉쳐야 한다. 입지선정에 무조건 승복하겠다는 양해각서를 빨리 체결해야 한다"며 지자체 관계자들에게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5월 대구시와 경북도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신공항은 5개 광역시·도가 1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곳이 맞지 않겠느냐"고 밝혔고 정부도 "광역경제권 선도사업에서 영남권 신공항은 부산·경남과 대구·경북의 공동사업으로 추진한다"고 못박으면서 기정사실화된 것과는 다른 기류여서 영남권 지자체들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이와 함께 대구, 경북, 경남, 울산시 등은 입지선정을 둘러싸고 부산시가 다수 지자체의 요구를 무시한 채 공항건립비가 다른 후보지보다 두배나 들고 접근성에서 뒤떨어지는 가덕도 해상이 아니면 안 된다는 식의 접근을 할 경우 자칫 사업 자체가 표류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대구시, 경북도 관계자들은 "정부 실무진들의 우려를 충분히 알고 있다"며 "입지 선정과 관련, 5개 지방자치단체들이 '결정에 무조건 승복하겠다'는 MOU 체결에 주력할 것"이라고 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