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정원장·경찰청장 측근 전진배치 '국정 장악'

이명박 대통령이 18일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을 국가정보원장에,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을 경찰청장에 내정한 것은 충성도가 높은 측근 인사들을 전진 배치시킴으로써 집권 2년차 국정 장악력을 높이기 위한 포석이란 분석이다.

경북 영주 출신인 원 국가정보원장 내정자는 이 대통령이 서울시장에 취임한 2002년부터 경영기획실장, 행정1부시장을 맡으며 지근 거리에서 보좌한 핵심 측근이다. 그의 장점은 추진력이다. 공무원 승용차 홀짝제 등 밀어붙이는 힘이 이 대통령에 못지 않다는 평이다.

'계보'가 없는 것도 장점이다. 굳이 계보를 따진다면 이 대통령 직계다. 그래서 경북 출신이지만 지역성이 떨어진다는 일부의 평가도 있다. 그런 면에서 국정원 내 원장과 기조실장 간의 갈등설을 잠재우고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잘 구현해야 하는 국정원장감으로 더욱 믿음직스러웠을 것이란 풀이다.

김 경찰청장 내정자는 현 정부 들어 경찰종합학교장에서 서울경찰청장으로 발탁되면서 일찌감치 준비된 경찰청장감으로 불려왔다. 촛불집회에 잘 대처해 이 대통령의 신임을 받았다. 대륜고와 영남대를 졸업한 그는 경북경찰청장, 대구경찰청장을 지내 지역 인사들과 폭넓은 인맥을 갖고 있는 이른바 '대구경북(TK) 본류'로 이 대통령에 대한 충성도에서 높은 평점을 받고 있다.

김성호 전 국정원장과 어청수 전 경찰청장이 공교롭게 경남 출신이었고, 원 내정자와 김 내정자가 경북 출신이란 점을 들어 4대 권력 기관장이 PK(부산경남)에서 TK로 이동하고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민주당 등 야권에서는 'TK 편중 인사'라고 혹평했다. 하지만 4대 기관장 가운데 3명이 경남 출신일 때는 잠잠하다가 TK 2명이 발탁되자 요란한 소리가 나오는 것은 개각과 청와대 진용 개편 등을 앞두고 TK를 견제하려는 음모라는 시각도 강하다. TK의 발목을 잡아야 부산경남은 물론 호남 충청 등지 인사들의 진로가 열린다는 계산이라는 것이다.

어쨌든 'TK 편중 인사' 논란으로 국세청장에는 비(非)TK가 발탁될 공산이 커졌다. 김경원 국민연금공단 감사, 이현동 서울국세청장의 전진 배치가 한때 거론됐지만 가능성이 그리 높아보이지는 않는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