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준비 안된 '학업성취도평가 강행' 조작 사태 초래

전국 곳곳에서 빚어지는 학업성취도평가 성적조작 의혹은 교육과학기술부가 처음으로 시행하면서도 전국 단위 평가 및 공개에 대한 철저한 사전 준비 없이 강행하다 일어난 사고였다.

교과부는 당초 성적 집계의 오류나 실수, 조작 등의 가능성을 이유로 전수평가 결과의 공개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시도교육청들의 의견을 묵살하고 '교육 경쟁력 제고'를 이유로 공개를 강행했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교과부가 시·도교육청들의 의견을 반영해 표집군의 평가 결과만 공개하기로 해놓고 갑자기 전수평가 결과를 공개해 당황스러웠다"고 말했다.

평가 감독·채점·집계에 대한 사전 홍보나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도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북구 A초교 교사는 "예전에도 학업성취도 평가를 했지만 표집 대상 학교의 성적 결과만 해당 학교에 통보했다"며 "전수조사를 할 것이라곤 생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서구 B초교 교사는 "초교생 평가의 경우 OMR카드가 아니기 때문에 채점 결과를 컴퓨터에 입력한 뒤 확인하는데 무려 보름 가까이 걸렸다"며 "더구나 중간고사 출제·평가 등 다른 업무와 겹쳐 점수 입력과정에서 실수할 가능성이 높았다"고 털어놨다.

전교조 대구지부와 일부 시민단체들은 "정부의 무리한 일제고사 강행 때문에 성적조작 의혹이 불거지게 됐다"며 학업성취도 평가 폐지를 주장했다. 전교조 대구지부는 다음달 9일 초교 4학년~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학습진단평가에 반대하는 집회를 조만간 열고 일제고사 폐지 입법청원 서명에 들어갈 계획이다.

시교육청은 20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누락한 대구 북구 2개 초교에 대해 현장 실사를 한 결과, 고의적인 성적 조작은 없었다"고 밝혔다. A초교 경우 평가 담당교사가 병가 중이어서 통계처리를 맡은 학습부진아 담당 교사가 보고시한에 쫓겨 기초학력미달 학생 수를 교내 교과 부진학생 수에 근거해 입력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다는 것. B초교 경우 담당 교사가 엑셀 프로그램 통계처리 과정에서 영어 기초학력 미달자 수를 5개 과목 미달자 수로 영역을 잘못 선정해 누락이 생겼다고 했다.

시·도교육청은 평가결과 재조사를 위해 인근학교 간 교차 확인하고 지역교육청·학교에 대한 샘플링 조사 등의 방법을 동원하며 교과부는 시·도교육청에 감사반을 파견해 별도 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전창훈기자 apolo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