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명작, why?]르누아르

밝고 경쾌하며 현실을 바탕으로 한 예술작품 탄생

작 가 명 : 르누아르(Ronoir, Auguste 1841~1919)

제 목 : 물랭 드 라 갈레트(Le Moulin de la Galette)

연 도 : 1876년

크 기 : 131.0x175.0cm

재 료 : Oil on Canvas

소 장 처 : 파리 오르세 미술관

파리의 몽마르트르에 있는 물랭 드 라 갈레트는 19세기 말경 파리지앵들로부터 사랑받던 무도회장으로 일요일 오후가 되면 젊은 파리의 연인들이 모여들어 햇빛을 받으며 춤과 수다를 즐기던 장소였다. 당시 파리는 축제 천국이었다. 르누아르는 이곳의 분위기를 고스란히 화폭에 담기 위해 1년 반 동안 이곳을 관찰하였으며 수많은 현장 스케치 작업과 습작을 거쳤다. 르누아르 작품 중에는 가장 큰 이 그림은 1877년 '제3회 인상주의전'에 출품되기도 했다.

미술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일상생활을 사실대로 묘사하는 것은 품위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던 시대도 있었다. 따라서 일상적인 정경은 중세 필사본의 테두리 장식 속에 나타난다든지 고대 그리스의 도자기 그림으로 묘사되기는 해도 본격적인 회화 작품의 주제가 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후원자와 작가 양쪽이 자신들의 주위 생활을 관찰하거나 묘사하며 즐기던 때도 있었다.

예를 들면 17세기의 네덜란드의 어떤 미술품 수집가는 특히 풍속화(일상생활을 묘사한 그림)를 애호하였다. 이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제작된 수많은 작품은 특이한 주제를 다루고 있지 않는 데도 아름답고 매력적인 것이 적지 않다.

네덜란드의 화가들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주막집의 분위기, 소란스러운 가정의 연회, 우아한 놀이, 얼음 위에서 스케이트를 즐기는 사람들, 위엄하고 있는 정숙한 보통 여인들을 비롯한 당시 생활의 모든 측면들이다.

그리고 19세기말 태양광선의 작용을 관찰하면서 풍경을 그리는 것이 인상주의의 본령이었지만 르누아르는 인상주의 화가들 중에서 언제나 인간을 주제로 해서 그림을 그렸다는 점에서 예외적인 존재로 기록되고 있다.

르누아르가 이처럼 흥겨운 무도회장을 그린 까닭은 '예술은 현실에 뿌리를 내려야 한다는 신념' 때문이었다. 천성이 쾌활하고 낙천적인 르누아르는 늘 세상은 밝고 인생은 즐거운 것이라는 생각을 통해 이처럼 환하고 경쾌한 풍속화를 탄생시킬 수 있었다.

김태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