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가게의 카네이션 꽃바구니를 보면서 잠시 생각이 멈추는 듯했다. '올해는 카네이션을 살 필요가 없네….' 카네이션을 드릴 부모님이 이제 나에겐 없다는 것을 일깨워주는 순간이었다.
작년 2월 친정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5월 초 어르신을 위한 행사에 갔다가 얼마나 울었는지. 그래도 작년 어버이날에는 아버지께라도 꽃을 드릴 수가 있었지만 12월에 아버지마저 세상을 떠나셨으니 이제 더 이상 카네이션을 달아드릴 부모님이 나에겐 안 계신다.
5월 이때쯤이면 곳곳에서 어르신을 위한 다양한 행사가 있고 평소에는 그냥 인사치레로 다니면서 어르신들께 눈도장을 찍고 나왔다.
그러나 지금은 어르신을 만나면 마치 우리 엄마, 아버지를 찾기라도 하듯 더 가까이 다가가서 이야기하며 눈을 마주친다.
누군가로부터 주말에 부모님을 뵈러 간다는 말을 듣고 가슴이 철렁하며 부러움과 함께 이 세상에 나 혼자만 부모님이 없는 듯 서럽기만 하다. 언제까지나 곁에서 조건 없이 지원해 주는 영원한 후원자이며 든든한 '빽'이 바로 부모님인 것을 나이 오십이 넘어서야 알게 되었으니 부끄러울 뿐이다.
얼마 전 친정아버지를 잘 아신다는 어른 한 분을 우연히 만나게 되었다. 그분은 친정할아버지부터 우리 집안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계셨다.
나는 마치 어릴 적 동화 이야기라도 듣는 듯 하나도 빠짐없이 듣기 위해 귀를 쫑긋하며 열심히 들었다.
예전에는 나의 뿌리에 대해 아무런 관심도 없다가 이제 부모님을 다 잃은 뒤에야 이렇게 안간힘을 다하며 알고자 하는 것은 이렇게라도 빈 자리를 채우겠다는 내 욕심이 아닐까.
한때는 어버이날이라는 핑계로 꽃바구니와 작은 선물만 들고 가면 하루 종일 해주는 밥 얻어먹고 소파에 누워 TV도 보면서 이 세상에서 가장 편안하게 쉬었다 오곤 하던 친정이란 곳이 이젠 영영 내 사전에서 사라졌다.
가정의 달이라며 TV와 신문에서 아이들 손을 잡고 나들이하는 가족들의 모습을 본다. 철없는 아이처럼 어떤 말과 행동을 해도 끊임없는 사랑과 깊은 이해로 받아주던 부모님 자리에 어느새 내가 서 있는 것을 본다. 밀려오는 쓸쓸함을 슬그머니 아이들에게 기대며 달래본다.
최윤희 전문직여성 한국연맹 회장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