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위기에 따른 취약 계층에 대한 한시적 생계 지원과 지역 상권 회복을 목표로 내건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1일 본격 시행에 들어갔다.
출발은 일단 순조로운 편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29일까지 전국에서 집계된 신청 인원은 31만4천539명으로 목표 25만 명을 넘어섰다. 선발된 25만550명의 성별은 남자(43.9%)보다 여자가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 이하 3.6%, 30대 8.4%, 40대 17.1%, 50대 24.5%, 60~64세 16.5%, 65~69세 16.2%, 70세 이상 13.6% 등이었다.
접수율은 자치단체마다 큰 차이를 보여 대구(100%)와 경북(107%)은 목표를 달성했지만 서울 95%, 부산 79.9%, 울산 96.1% 등 100%를 밑돈 곳도 많았다.
사회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는 이 사업에는 국비 1조3천280억원, 지방비 3천790억원 등 총 1조7천70억원이 투입된다. 가장 눈에 띄는 사업은 전국 단위의 4대 랜드마크 사업으로 ▷백두대간 보호 ▷주거 환경 취약 지역의 동네마당 조성 ▷공장 진입로 확장·포장 ▷자전거 인프라 개선 등이다. 4대 랜드마크 사업에는 총 977억원의 사업비와 일일 1만400명이 투입된다.
이 가운데 백두대간 보호 사업은 백두대간 중 남한 지역 684㎞에 6개 도, 32개 시·군, 108개 읍·면·동이 참여하는 초대형 사업으로 등반·생태 통로 정비, 소나무재선충 솔잎혹파리 등 병충해 예방, 외래 식물 퇴치 사업 등 백두대간 보호에 나선다.
시행에 앞서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임금의 일부로 받는 상품권의 경우 유효기간과 사용처가 제한돼 실효성 논란이 있는데다 '상품권 깡' 등 악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6개월짜리 단기 사업에 얼마나 많은 점포가 가맹점으로 등록할지도 미지수다.
행정안전부 최영호 희망근로TF 팀장은 "신청 마감 결과 예상보다 국민들의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상황실을 통해 추진 실태를 철저히 점검해 내실있는 사업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달곤 행안부 장관은 4일 대구를 찾아 희망근로 사업 현장을 둘러볼 예정이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