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환율 떨어지니 수출 채산성 악화

환율이 떨어지자 지난달 우리나라 산업체가 수출하는 물건값이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등한 환율이 되돌림될 경우와 관련, 우리 수출상품 경쟁력에 대한 우려가 번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5월 수출입물가 동향'에 따르면 수출물가 총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1% 떨어졌다. 이 감소폭은 2007년 2월(-4.2%) 이후 2년3개월만에 낙폭이 최대다.

수출물가 하락은 대기업들의 채산성을 악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수출물가 지수 증가율은 전년 같은달 대비 기준으로 2005년 이후 줄곧 마이너스를 유지하다 2007년 11월부터 플러스로 돌아섰다. 지난해에는 금융위기를 맞아 환율이 급등하면서 10월에 38.6%의 상승률을 기록하는 등 가파르게 올라갔다.

올 들어서도 1월 18.6%, 2월 22.9%, 3월 17.4%, 4월 7.7% 등의 폭으로 상승했다

5월 수출입물가를 품목별로 보면 중형 승용차의 수출물가가 4.5% 내렸고 집적회로 8.6%, 무선전화기 8.3%, 위성수신기 10.3% 등의 비율로 하락했다.

자동차, 전기전자품목 하락세가 커 대구경북지역 주력산업인 차부품과 전기전자부품산업도 채산성이 크게 악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아연도강판은 13.8%, 철강선은 10.0%, 굴삭기는 4.0% 등의 폭으로 떨어졌다.

환율이 하락하면서 수출물가가 떨어진 것으로 한국은행은 분석했다.

역시 환율하락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수입물가 총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9% 떨어져 10년 만에 가장 많이 하락했다. 이 감소율은 1999년 6월(-14.3%) 이후 최대다. 분야별로는 원자재가 32.4% 떨어졌고 중간재는 6.4% 하락했다.

전달과 비교해서는 총지수가 3.0% 떨어져 4월에 이어 2개월째 하락했다. 원자재는 1.1% 올랐으나 중간재는 4.8%, 자본재는 5.3%, 소비재는 4.3% 각각 내렸다.

품목별로는 원자재 중 무연탄이 전월보다 34.2% 떨어졌고 액화천연가스 13.3%, 칼슘 8.6%, 원면 4.7% 등의 비율로 내렸다. 중간재에서는 비료 15.3%, 후판 14.3, 알루미늄 합금 3.3% 등의 폭으로 하락했다.

소비재에서는 프로판가스가 9.8% 떨어졌고 과일 6.5%, 냉동어류 3.4%, 부탄가스 7.4% 등의 폭으로 내렸다. 최경철기자 koalla@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