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이 추진중인 C&우방랜드 정상화가 장기간 표류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15일 매각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됐지만 MOU 체결이 불확실한데다 매각 및 정상화를 위한 채무재조정이나 매각 후 사업성을 높이기 위한 용도변경 등이 별다른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
우방랜드 임직원들은 "모기업인 C&그룹이 부실화된 이후 실질적인 경영주가 없고 유일한 정상화 방안인 법정관리를 통한 채무재조정 이후 매각 또한 채권단의 이해관계로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진통 겪는 매각
우방랜드 매각을 진행중인 삼일회계법인은 지난 17일 마이어자산운용사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하지만 MOU 체결 기한(22일)이 일주일이나 지났지만 마이어사측은 향후 일정에 대한 구체적인 의사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우방랜드 노조 관계자는 "마이어사가 MOU체결 연기를 신청한 상태지만 아직 현지 실사조차 내려오지 않아 매입 의지나 능력이 있는지 불확실하다. 노조측에서는 실체가 뚜렷하지 않은 투자 회사의 우방랜드 인수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힌 상태"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금융권에서는 마이어사의 우방랜드 인수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채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며 투자자 입장에서는 우방랜드 개발에 도시계획법상 규제가 많아 사업성 확보도 쉽지 않은 탓이다.
우방랜드의 6월말 기준 부채는 690억원 수준이며 1천억원에 이르는 C&그룹 보증 채무가 그대로 남아 있다.
노조 관계자는 "우방랜드의 현 자산가치(1천600억원) 대비 채무액을 보면 현실적으로 몇백억원의 돈을 내고 인수할 기업은 없다"며 "마이어사를 투기세력으로 규정하고 증권감독원에 조사 의뢰 계획까지 내놓은 것도 인수 계획에 현실성이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우방랜드가 도시계획법상 근린공원으로 묶여 있어 인수 기업 입장에서는 향후 투자도 쉽지 않다.
근린공원은 부지내 토지 이용률이 40%로 제한돼 있고 호텔이나 쇼핑시설 유치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기계 장비에 의한 놀이기구는 설치 때마다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 등 규제에 둘러쌓여 있다.
우방랜드 관계자는 "서울랜드나 에버랜드 등 전국 타도시 놀이시설은 모두 유원지나 관광지로 허가를 받았으며 우방랜드도 투자를 유치하고 시설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용도 변경이 필수적이지만 이에 대한 논의는 중단 상태"라고 했다. 유원지나 관광 지구로 변경되면 토지 이용률이 80%로 높아지며 유치 업종 제한이 사라진다.
◆향후 방안은
우방랜드 임직원들은 랜드 정상화를 위한 유일한 방안이 법정관리 신청을 통한 채무 재조정 이후 매각 수순을 밟는 것 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방랜드의 실질적인 소유자는 C&그룹의 채권단으로, 법정관리 신청이 쉽지 않다.
C&그룹은 자금난에 빠지면서 지난해 10월 우방랜드 주식 63%를 담보로 채권단에 제공했으며 채권단은 이를 바탕으로 C&구조조정 유한회사를 만들었고 현재 일부 주식을 매각한 뒤 38%의 주식을 갖고 있다.
C&구조조정 유한회사 입장에서는 법정관리 신청을 할 경우 채무 재조정을 통해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높아 M&A를 계속 추진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또 우방랜드 부지에 대한 도시계획상 용도 변경도 자칫 '특혜' 소지를 불러 올 수 있어 대구시의 운신 폭이 좁다.
이에 따라 인수자 입장에서 볼 때 우방랜드는 채무가 많고 인수 후 투자 가치도 상당히 떨어지는 상태.
대구 경제계 관계자들은 "법정관리를 통해 채무 재조정을 한 뒤 M&A 시장에 나와야 정상적인 투자 기업이 들어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방랜드가 경쟁력을 가진 놀이시설로 성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