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보다는 모스크바에서 대체의학으로 유명한 어떤 분의 기사를 읽었다.
그 분의 철학에는 '삼원론'이란 말이 나온다.
우주의 모든 사물에는 세 가지 원리가 있다는 것인데, 첫째 밖으로 나가는 것, 둘째 반대로 안으로 들어가려는 것, 셋째 그 두 가지를 조화롭게 하는 것이다. 이 이론은 음과 양으로 모든 것을 해석하려는 것에 이 두 가지를 중화시키는 세번째가 있는 것이다. 이 분은 세 번째를 '뉴트로'라고 표현했다.
나는 이 글을 읽으면서 태극 무늬가 떠올랐다. 태극에는 윗부분에 적색이 있고, 아래에는 청색이 있다. 적색 부위는 밖으로 나가려는 기운이고 청색은 반대로 안으로 들어가려는 기운이다. 이 두 가지 양과 음이 뒤섞여 돌아가게 되는 원리는 원이라는 테두리 안에 갇혀있기 때문이다.
'손오공이 뛰어봤자 부처님 손바닥 안이다'는 말처럼 원은 무(無)이기도하고, 시작이기도 하다. 그래서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란 말이 있나보다. 기운이 있으되 보이지 않았으나 원이 있으므로 그 형체가 생기게 되는 것이고 형체가 생겨 기운이 동하면 항상 반대 기운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아무리 두 기운이 발버둥쳐봐도 원이 없어지면 형체는 없어진다. 원은 육신이요, 양과 음은 인간의 정신이다.
나는 가끔씩 '하느님께서 나에게 왜 이리도 분에 넘친 복을 내려주신 것일까'하는 엉뚱한 생각을 해본다. 필시 무언가에 쓰려고 그러실 것이라는 결론은 내려 보지만 도무지 무엇에 나를 사용하실 지는 알 수가 없다. 어쩌면 영원히 알 수가 없는 이 질문은 고대로부터 인간들이 항상 던져온 '인간이 왜 사는가?'하는 질문이기도 하다. 그 해답은 인간은 알 수가 없을 것 같다.
분명한 한 가지 진리는 원이라는 테두리가 언젠가는 사라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내 안에는 움직이고 있는 선과 악, 양과 음이 존재한다는 것. 그러면 나름대로 목적을 정하고 한 번 열심히 살아보자. 당장 내일이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쉽게 살지 말고 치열하게 살아보자. 돌아보면서 아쉬워하지 말고.
이영주 요셉 성형외과 원장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