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영재교육 0.84%…울산·경북보다 낮은 하위권

교육도시 대구의 영재교육 대상 학생 수가 부산, 대전, 울산, 전남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청별 영재교육 관련 예산에서도 대구는 중위권 수준이었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 소속 서상기 한나라당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받은 '시·도 교육청별 영재교육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구의 영재교육 대상 학생 비율은 초·중·고교 학생 39만8천723명 중 3천349명(0.84%)으로 부산(1.42%), 대전(1.30%), 울산 및 제주(1.27%), 인천(1.25%) 등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북, 강원, 경북, 충남, 경기, 전남보다 낮아 교육도시를 내세우고 있는 대구로서는 부끄러운 수준이었다.

대구는 올해 영재교육 관련 예산도 아주 낮은 수준이었다. 대구의 영재교육 예산은 교육청 전체예산 1조8천884억원 중 21억9천여만원으로 비율이 0.12%밖에 되지 않았다. 영재교육 대상학생 비율이 높은 부산의 경우 전체 예산 중 0.20%, 울산 0.19%, 대전 0.18%로 특히 경기지역은 영재교육 관련 예산이 0.30%에 달했다.

대구의 경우 다른 시·도가 해마다 영재교육 관련 예산을 늘려가고 있는 데 반해 제자리걸음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서울은 2007년 교육청 전체예산 중 영재교육 관련 예산이 0.06%에서 올해 0.12%로 뛰었고, 부산도 같은 기간 0.16%에서 0.20%로 올랐다. 인천도 0.07%에서 0.12%로 증가됐지만 대구만 0.11%에서 불과 0.01% 포인트 늘었을 뿐이다.

서상기 의원은 "빌 게이츠 같은 뛰어난 인재나 재원 1명이 1만명을 먹여 살리고, 기업의 1조원 이익과 맞먹는다"며 "초일류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영재교육은 국가적으로 상당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올해 우리나라 초·중·고교 영재교육 대상자 비율은 전체 학생의 0.95% 수준으로 100명당 1명꼴(6만9천860명)이었다. 이는 영재교육 비율이 높은 싱가포르(3%), 미국(5~15%)에 비하면 크게 떨어지는 수준. 또 최근 3년간 영재교육 기관과 대상자는 꾸준히 늘어 2007, 2008년 183개 기관 9천47명에서 지난해와 올해 1천279곳, 1만4천807명이 늘어났다.

서 의원은 "영재교육 대상 비율도 시·도별로 최대 3배까지 차이가 나고, 지역 간 불균형적인 영재교육이 이뤄지고 있다"며 "영재교육에 대한 국가, 교육청, 지자체의 투자 확대, 영재교육 분야 다양화, 영재교육에 대한 소외계층 지원 등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