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 주택담보대출에 적용하는 가산금리가 2007년 이후 급등세를 보여 무려 3% 포인트에 육박하고 있다.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90%에 달하는 변동금리대출에 부여하는 가산금리가 치솟으면서 대출자들의 한숨이 늘고 있다.
9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허태열(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의 평균 가산금리는 올해 8월 기준으로 2.97%를 기록, 2007년 평균의 2.5배로 뛰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변동금리 기준)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정해진다.
신규대출 기준 가산금리는 2007년 평균 1.18%에서 지난해 4분기 1.83%로 상승했고 올해 3월부터는 2.8~2.9%대의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CD금리는 2007년 5.16%에서 지난해 3분기 5.69%로 높아졌다가 국제 금융위기에 대응한 통화당국의 공격적인 금리인하 영향으로 올해 3월부터 8월까지 2.4%대를 유지했다.
이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는 2007년 6.34%에서 지난해 4분기 7.27%로 높아졌다가 올해 6월에는 5.25%까지 낮아졌다. 이후로는 CD금리와 가산금리가 동반 상승하면서 8월 5.45%로 상승했다.
8월에 2억원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이 1년 동안 지불해야 하는 가산금리는 연간 576만원으로 2007년에 대출받은 고객이 내는 가산금리 236만원보다 340만원이나 많다.
허태열 의원은 "현재 금융조달비용이 외부환경요소에 의해 높아졌다고 하지만 금융시장이 안정되고 있는 현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가산금리가 상승하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며 "결국 은행은 수익확보를 위해 스스로 책정하는 마진과 비용을 올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경기회복에 따라 한국은행이 현재 2.00%인 기준금리를 올리면 CD금리가 상승하고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소비자들의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CD금리는 최근 시중금리 상승세를 반영해 8일 기준으로 2.80%까지 올라 2월 11일 이후 거의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경철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