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지역 '反한나라 연대' 만들어지나

시민사회단체·야당, 지방선거 연합공천 등 논의

지역 야당과 시민사회단체 일각에서 내년 지방선거에서 기초단체장과 광역 및 기초의원 선거를 겨냥한 반(反)한나라당 연대 목소리가 광범위하게 나오고 있다. 반한나라당 연대가 현실화될 경우 지금까지 전례가 없었고, 지역의 반한나라당 세력을 하나로 결집하는 구심체 역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내년 지방선거에 상당한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일 지역 야당과 시민사회단체의 여러 관계자에 따르면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시민사회단체 등이 함께 내년 지방선거에서 반한나라당 기치로 연대를 하고, 기초단체장과 광역 및 기초의원에 한해 연합공천을 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시민사회단체가 각 정당 간의 중재와 조율에 나설 움직임이다. 연합공천이 현실화되면 선거구별로 참신하고 능력 있는 인물을 후보로 결정하고, 야당과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함께 해당 후보자 선거운동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이와 관련, 지역 야당과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은 10일과 13일 두 차례에 걸쳐 예정된 '대구시민사회, 2010 지방선거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토론회를 주목하고 있다. 26개의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상임대표 오완호)가 주최하는 이번 토론회는 시민사회운동 진영이 내년 선거에 참여한다는 대원칙 하에 구체적인 참여 방법을 논의하는 자리다. 따라서 이날 시민사회운동 진영이 야당 등과 연대해서 후보를 내는 방안뿐만 아니라 직접 후보를 내는 방안 등 내년 선거에 참여하는 방식 등을 두고 폭넓은 논의가 있을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야당 등과의 연대에 공감대가 형성될 경우 반한나라당 연대는 급속도로 현실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관련, 김동렬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은 "야당 등 기존 정당과 함께하기까지는 내부적으로 더 논의가 필요하다"며 "하지만 새로운 변화를 위해 뭔가 해보자는 데는 동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영우 민주노동당 대구시당 부위원장은 "반한나라당 연대가 아직은 물밑에서 논의 중이다. 11월 중에는 세력화 가능성이 크다"며 "민노당은 반한나라당 연대에 나설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김성년 진보신당 대구시당 대변인은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단계는 아니지만 충분히 가능성을 두고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현무 민주당 대구시당 사무처장은 "충분히 논의할 가치가 있다. 원칙적으로 찬성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민사회단체 중에서도 '정치적 중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고, 야당들도 서로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반한나라당 연대가 현실화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