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역 도심에 대형소매점 입점은 더 이상 안 된다

㈜신세계가 구미시 인동동에 대형소매점 건립을 다시 추진, 시민들로부터 큰 반발을 사고 있다고 한다. 구미 경제계와 상인들은 이미 대형소매점 3개가 있는 상황에서 이마트 동(東)구미점까지 입점할 경우 지역상권의 붕괴가 불 보듯 뻔해 불매운동 및 시위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구미 경제계와 상인들의 걱정과 우려는 지극히 타당하다.

㈜신세계가 대형소매점을 건립하려는 곳은 삼성전자, LG 등 대기업이 대거 입주해 있는 3공단 지역이다. 지난해부터 종업원 수 감소, 경기 침체 등으로 골목 상권이 크게 위축된 곳이기도 하다. 대형소매점 1곳이 들어서면 주위에 1천 개가 넘는 소규모 자영업체가 사라진다는 통계를 볼 때 대형소매점이 들어설 경우 인근 상권이 초토화되고 적지 않은 영세업소들이 문을 닫을 게 분명하다.

구미시가 2007년부터 이곳에 대형소매점 입점을 막아왔고 올 1월 건축 허가를 반려한 것은 잘한 일이다. ㈜신세계가 허가 반려 취소 소송과 함께 건축 허가를 다시 신청했다고 하더라도 일관된 행정을 펼치는 것이 맞다. 구미시는 ㈜신세계의 입점 요구와 구미 경제계와 상인들의 여론 사이에서 '소송 결과를 기다리자'며 어정쩡한 모양새를 취하기보다는 좀 더 적극적이고 단호한 모습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대구(대형소매점 17개)와 포항(10개)의 사례에서 보듯 대형소매점의 지역 기여도는 미미하기 짝이 없다. 수익금은 본사로 가져가고 종업원도 상당수 비정규직을 고용하고 있다. 도심의 골목 상권에 대한 보호장치를 만들어 놓지 않은 채 대형소매점 입점과 영업을 허용하는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 대기업과 영세상인 간에 경쟁을 붙여놓고 자본주의의 논리로 포장하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구미시가 끝까지 굳건한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