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기부에 등재돼 있는 많은 권리 중에는 경매가 실행돼 매각되면 깨끗이 말소되는 권리가 있고, 등기부상에 그대로 살아남아 매수인에게 인수되는 권리도 있다.
민사집행법에서는 소제주의(掃除主義)를 원칙으로 해 ▷저당권등기 ▷근저당권등기 ▷압류등기 ▷가압류등기 ▷담보가등기 및 경매개시결정등기 중 시간 순서에서 제일 앞선 등기를 포함해 그 후순위 등기는 내용과 권리가 모두 소멸한다. 이때 위 등기권리자(채권자)는 배당으로 자신의 채권을 충족하든 충족하지 못하든 상관이 없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매수인(경락인)이 인수해야 하는 등기(권리)도 있어 이를 인수주의(引受主義)라고 한다.
등기부에서 소멸되지 않아 인수주의에 해당되는 것은 앞에서 열거한 6가지보다 앞선 등기로서, ▷지상권 ▷지역권 ▷등기된 임차권 및 전세권 ▷보존가등기 ▷환매등기 및 가처분등기 등이 있다.
다만 후순위 가처분등기일지라도 토지소유자가 그 지상 건물소유자를 상대로 건물철거 및 토지인도청구권 보전을 위해 행한 등기는 매수인에게 인수될 수 있다. 가처분등기의 원인이 소유권을 다투는 경우라면 가처분등기의 말소여부와 관계없이 경락받은 매수인이 매각대금을 완납해도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거나, 말소 후 뒤늦게 가처분이 회복돼 매수인에게 인수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 예고등기는 순위와는 무관해 무조건 매수인에게 인수되기 때문에 그 내용과 결과를 확인할 수 없다면 절대로 입찰하면 안 된다.
유치권(留置權)과 법정지상권(法定地上權)은 등기부상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요건을 갖추었고 그 권리가 인정된다면 매수인이 인수부담해야 한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임대차는 그 등기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이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을 마친 때에는 그 다음날부터 제3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 이 경우 전입신고를 한 때에 주민등록이 된 것으로 본다' 및 제3항 '임차주택의 양수인은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 것으로 본다'의 규정에 따른 권리를 가진 대항력 있는 임차인이 배당요구신청을 하지 않았다면 임차인의 계약기간 동안 계약의 해지를 요청할 수 없고, 계약기간이 종료되면 임차보증금 전액을 인수해야 한다.
이처럼 경매로 매수하려고 하는 부동산에 인수되는 등기나, 등기부상에 나타나지 않는 권리, 또는 인수해야 할 대항력 있는 임차인의 임차보증금이 있다면 입찰 참가자로서는 최저매각금액이 자신에게 인수될 금액 이상 저감(低減)됐을 때만 입찰에 참가해야 할 것이다.
하갑용 리빙경매 대표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