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물·약수터 수질, 대구 '취약' 경북 '양호'

환경부 3/4분기 조사 결과 부적합률 36.4%, 6.3%

약수터·우물·샘터 등 '먹는물 공동시설'의 수질이 대구는 취약하고 경북은 양호했다.

환경부는 올해 3/4분기 동안 전국의 우물·약수터·샘터 등 먹는물 공동시설 1천578개에 대한 수질검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24일 공개했다.

대구 지역 총 11개의 공동시설을 대상으로 7월부터 9월까지 매달 총 33번의 검사를 치른 결과 먹는 물 부적합 판정을 한 사례는 12건에 달했다. 조사 기간 동안 대구의 먹는물 공동시설의 부적합률이 36.4%에 달해 인천 46.2%, 서울 45.5%에 이어 3위였다. 특히 부적합 판정을 받은 대구의 먹는물 공동시설이 7월 4개, 8월 5개로 대장균 등에 노출되기 쉬운 여름철의 먹는물 관리가 허술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경북의 먹는물 공동시설은 대구보다 3배가량 많은 31개에 달했지만, 이를 대상으로 한 95번의 수질검사에서 단 6건만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부적합률은 6.3%로 제주(0%)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경북의 부적합 건수는 7월 1건에 불과했으나 8월 4건으로 급증하는 등 대구와 마찬가지로 여름철 관리 강화 필요성이 제기됐다.

한편 정부는 이날 전국의 취수 부적합 판정을 받은 먹는물 공동시설에 대해 해당 지자체에 미생물 살균기 설치를 권장하는 한편 수질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시했다. 약수터 등의 이용자는 약수를 마시기 전 수질검사 결과 안내판을 반드시 확인할 것도 당부했다.

환경부는 현재 약수터 이용객들이 보다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먹는물 공동시설 수질 개선을 위한 관리 대상·방법 등을 강화하는 '먹는물 관리법' 개정안을 추진 중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