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문구독률 20% 초과시 방송진출 금지안의 현실성은?

유료 구독 20% 넘으면 지상파나 종합편성채널, 보도전문채널 진입 금지

전체 가구수 대비 연평균 유료 구독가구수 20%를 넘으면 지상파나 종합편성채널, 보도전문채널 진입이 금지된다?

이 안이 현실적으로 조중동을 포함한 중앙지의 지방 부수 확장에 어느 정도의 제동력을 행사할 수 있을까?

기자가 보는 관점은 미미하거나, 별로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이다. 지방지로서는 아무런 영양가도 없는 조치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가장 많은 독자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진 조선일보의 구독률은 10% 대.

지난 8일 이사를 한 대구의 한 시민은 이사짐을 부리기도 전에 중앙지 모 지국장이 찾아와서 백화점 상품권을 주면서 구독을 권유하고 갔다고 전했다. 지방의 구독자 확장을 위해서 물품 공세를 마다하지 않는 중앙지의 행태가 버젓하게 남아있는데다가, 현재 가장 많이 본다는 조선일보의 구독률조차 10% 대에 머물고 있는 상황이니만큼 유료 구독가구수 20%를 넘기면 종편이나 보도전문채널 진입금지라는 규제는 '빛좋은 개살구'에 불과하다.

이같은 우려가 나온 근거는 19일 오전에 나온 연합뉴스의 보도에서 나온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정부는 19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과천 정부청사에서 열리는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방송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을 심의, 의결한다고 한다.

개정령안은 구독률이 20%를 초과하는 신문은 지상파방송과 종합편성 및 보도전문채널에의 진입을 금지하고, 구독률은 총 가구수에서 특정 일간신문의 연평균 유료구독 가구 수가 차지하는 비율로 산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방송에 진출하려는 신문사는 직전 사업연도의 전체 발행부수와 유가판매부수, 재무제표, 감사보고서 등을 제출해야 하고, 방송통신위는 이를 1개월 이내에 공개해야 한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하고 있다.

현재 중앙지 가운데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가 종합편성채널을 확보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는 상황.

조중동 모두 유료 구독률 20%대에는 훨 못미치고 있는 상황이어서 정부의 이번 조치가 별 영향력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것이다.

뉴미디어본부 최미화 기자 cklala@naver.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