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육지 위 제2기지 대륙 실질 연구에 필수

세종기지, 섬에 있어 연구에 한계…주도권 자원확보 차원서 절실

우리나라는 1988년 2월 킹조지 섬에 세종과학기지를 개소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인 남극 연구를 시작했다. 올해로 남극 연구를 본격화한 지 22년째를 맞는 셈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극지연구 수준은 미국이나 러시아, 영국, 호주 등 선진국에 비하면 여전히 걸음마 수준이다.

현재 남극권에는 19개국에서 37개 상주기지를 운영 중이다. 문제는 남극 진출 초창기에 남극대륙 주변부에 건설된 세종기지(남위 62도 13분)만으로는 남극연구 수행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세종기지에서는 남극대륙 및 주변 대륙붕 지역의 막대한 부존자원(광물, 수산·해양)에 대한 조사가 불가능하다.

특히 지구 온난화 등 환경변화 현상을 규명하는 데 필수적인 고층대기물리학, 빙하학, 천문·우주학, 오존층 변화 등의 연구는 남위 70도 이상의 고위도 지역에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남극 제2기지가 건설되면 기존 세종기지는 남극 허브기지이자 해양기지로서의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대신, 남극 제2기지는 남극대륙 전진기지로서 본격적인 남극대륙 빙하 및 기후 연구는 물론 남극대륙의 광물 부존자원 조사, 대륙 주변의 대륙붕 석유·자원 조사, 극한지 공법 기술개발, 극지 의학 및 인체 생리학 분야 연구, 원거리·인공위성 통신분야 연구, 국제 공동연구를 통한 극지연구의 다변화 등 한 차원 높은 극지 연구사업을 주도하게 된다.

현재 남극은 주인 없는 땅이자 기회의 땅이다. 남극조약과 남극환경보호 의정서 채택으로 특정국가에 의한 영유권 주장은 물론 오는 2048년까지 자원 개발을 금지하고 있다. 대신, 과학적 목적의 연구 진출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극지 연구의 주도권 확보는 물론, 국제적인 환경 문제 동참과 미래의 자원확보 선점 등을 염두에 둔 남극대륙 전진기지 건설이 절실한 이유다.

송현수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