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론 외면 '의원 私薦' 비난 비등

막바지 한나라 공천, 공심위 무력화 곳곳서 잡음

한나라당의 대구경북 지역 후보 공천 작업과 관련, 국회의원들이 무리하게 자신의 의사를 관철시키려는 의도를 곳곳에서 노골적으로 드러내면서 공천심사위원회(공심위) 활동 무력화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커지고 있다. 공천이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유사한 사례는 더 많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공천자 결정 과정의 방식 또한 국회의원 마음에 달려 있어 당원들의 직접 투표가 포함된 선거인단 경선은 번거롭고 후유증도 만만치 않다는 이유로 거의 배제되는 대신 여론조사 경선이나 단순 심사로 후보가 결정될 공산이 커지고 있다. 국회의원의 의중에 들어 있는 후보가 여론에서 앞서 있으면 여론조사 경선으로 하고, 뒤처져 있으면 서류와 면접심사 등의 방법으로 후보자를 결정하는 식이다. 당헌·당규상 공천 과정에서 해당 지역 당협위원장과 협의를 거치도록 한 규정 때문에 대부분의 당협위원장이 국회의원인 대구경북에서는 국회의원의 입김이 공천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셈이다.

대구시당 공심위는 9일 북구청장 후보 공천 방식으로 여론조사 경선을 채택했다. 수차례 예고됐던 선거인단 경선은 치르지 않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대구시당이 의뢰한 여론조사 결과는 무시됐다. 남구와 수성구의 구청장 후보자 공천 과정에서도 국회의원들의 입김이 절대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론조사 결과는 참고자료로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경북에서는 대구보다 더 노골적인 사례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문경시장 공천에서는 여론조사에서 타 후보를 5배 안팎으로 앞서는 현역 시장을 국회의원이 공천을 주지 않으려는 바람에 연일 시끄럽다. 칠곡에서도 국회의원이 배후에서 군수와 도의원 공천 신청 후보들에 대한 '교통정리'를 하는 통에 여론에서 앞선 후보들의 반발이 거세다. 경주에서도 칠곡과 비슷한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칠곡에서도 선거인단 경선을 치르려다 국회의원 의중이 더 잘 반영되는 단순심사 등 다른 방식을 채택할 공산이 크다.

정치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