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세상 밖으로 나온 불교, 시민 곁에 '한 발짝 더'

부처님 오신 날 연등축제…거리 체험행사 위주 마련

▲불교가 시민과 불자 곁으로 다가가고 있다. 사진은 스님과 아이들이 함께 농장을 가꾸는 모습.
▲불교가 시민과 불자 곁으로 다가가고 있다. 사진은 스님과 아이들이 함께 농장을 가꾸는 모습.

21일은 불기 2554년 부처님 오신 날이다. 불교에선 연중 가장 큰 행사다.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불교의 현주소는 어딜까? 불교가 시민 속으로 스며들고 있다. 지역 불교계는 '산 속', '절 집'이라는 표현보다는 '세상과 함께', '불자와 함께'라는 수식어를 더 바라고 있다.

지역 불교계는 지난달부터 봉축위원회를 구성해 두 달째 부처님 오신 날 행사를 하고 있다. 예년과 다른 점은 시민들 곁에 불교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도 부처님 같이', '소통과 화합으로 함께하는 세상'이라는 봉축 표어에서 강하게 묻어 난다. 그래서 봉축 행사는 남녀노소, 어린이에서 노인까지 함께하고 있다. 아이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댄스경연대회와 사생대회, 홀몸노인 공양, 어르신 무료 급식, 경로잔치는 물론 불우이웃돕기 바자회, 불교합창제, 시민과 함께하는 봉축 전통 창작등경연대회, 팔공산 올레길 걷기 대회 등이 마련됐다. 15일 열린 연등축제는 예년의 연등행렬 중심에서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불꽃놀이, 불교체험 행사 등 거리축제로 발전했다. 선덕여왕 숭모제 등 학술대회도 눈에 띈다.

봉축위원회는 "봉축 행사에는 불교계의 모든 종단이 한마음으로 참여하고 있고 때론 장엄하게 때론 즐겁고 편안하게 부처님과 함께한다"고 밝혔다.

25일 새 주지를 맞는 대한불교 조계종 9교구 본사 동화사는 지역 불교계에 많은 변화를 예고했다. 변화의 한 축 역시 '시민과 불자와 함께'다. 불자와 시민들의 곁에서 포교하고 부처님의 뜻을 알리겠다는 의미. 대구와 대구 인근 180만 불자를 대표하는 동화사가 어떻게 '불교 정책'을 펴느냐에 따라 지역 불교계의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25일 동화사 주지 임기를 시작하는 성문 스님은 지난 주지 선거 공약에서 '시민과 불자와 함께'에 대한 신념을 밝혔다.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계기로 선불교의 세계화를 위해 불교관을 운영하고 본사와 말사에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특별 템플스테이를 개설한다. 전법 포교기금 조성을 통해 신도 교육과 신도회를 활성화하는 계획도 냈다. 지역 사회에 불교의 새 이미지를 심기 위한 대구 도심 불교문화센터를 건립하고 정기적으로 시민 선수련 법회도 개최한다. 불교의 미래 포교를 위해 복지재단을 시작으로 시민·불자와 함께하는 종합 복지타운을 장기적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불교계의 새 화두인 참선과 수행 정진을 위한 선체험센터와 국제선센터 건립도 추진된다.

불교 단체들의 활동도 두드러져 불교 호스피스활동이 대표적인 경우. 몇몇 스님의 불교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호스피스활동이 불교호스피스센터로 확대·통합된 것. 지난 4월 10일 남구 대명동 불교 대구회관에서 대구사원주지연합회, 대구사원주지연합회 신도회, 경북대·영남대 등 지역 주요 병원, 사회복지 전문가, 사회복지 자원봉사자 등이 참여하는 불교호스피스센터가 발대식을 갖고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불교호스피스센터 은장권 센터장은 "불교호스피스센터는 불교계의 적극적인 사회 참여이자 부처님의 참뜻을 전하는 새로운 포교 활동"이라고 했다.

또 대구 파라미타(회장·김영현 능인중학교 교장)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포교 활동을 하는 대표 단체다. 불교 문화재 지킴이, 낙농·인삼 체험 등 농촌 봉사, 템플스테이, 사찰음식 맛보기 등 활동만 13년째다.

한국불교대학 大관음사는 시민 곁 도심 포교로 성공한 대표 불교 도량. 법당의 문턱을 낮춰 시민과 불자들에게 수행 정진 중심 도량으로 자리 잡았다. 국내외에 10개의 도량을 개원한 한국불교대학은 9일 팔공산 갓바위 앞 길(구 득은사)에 팔공산 도량을 열었다.

팔공산 도량은 평일은 도심 도량에서 기도와 수행을 하고 주말과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산을 찾아 편안하게 불교를 접하도록 마련한 것이다.

이종규기자 jongk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