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학교 부재자 투표소 왜 안됩니까"

경북대·대구교대 설치 요구…선관위 규정만 내세워 부정적

6·2지방선거를 앞두고 대구지역 대학교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까다로운 부재자 투표소 설치 규정 탓에 대학 캠퍼스에는 부재자 투표소 설치 전례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이번에는 경북대와 대구교대 2개 대학교가 부재자 투표소 설치를 잇따라 요구하고 나섰으나 선관위로부터 부정적인 답변을 받았다.

경북대 총학생회에 따르면 경북대는 17일 1천800여명의 대학 부재자 선거인단을 모아 북구선거관리위원회에 캠퍼스 부재자 투표소 운영을 신청했다. 대구교대 역시 800여명의 부재자 인원을 모집해 남구선관위에 접수시켰다.

그러나 2개 대학교 부재자 투표소 설치 여부는 미지수다. 선관위에 따르면 현행 공직선거법상 대학내 부재자 투표소를 설치·운영하려면 학교와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부재자 재학생 수가 2천명이 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경북대 김태연(21·여) 부총학생회장은 "아침 일찍부터 오후 늦게까지 경북대 두세 개의 출입구와 도서관, 기숙사 등에서 부재자 선거인원을 모집하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 실제 경북대 부재자는 5천명선이지만 시간이 모자라 필요한 인원 수를 채우지 못했다"며 "선관위가 조사해야 할 부재자 수를 학생회 측에 떠넘긴 건 앞뒤가 바뀐 것 아니냐"고 말했다.

대구교대 최성준 총학생회장은"대학생 투표 장려를 위해 부재자 2천명 이상 규정 또한 완화할 필요가 있다"며 "정치권에선 말로만 20대가 정치의 주체고 20대 투표율을 높이는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말하지만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이번 선거에서 전국 32개 대학이 선관위에 6·2지방선거 부재자 투표소 설치 신청서를 제출했지만 인원 수를 만족하는 대학은 경희대·고려대 등 10개 대학뿐이다. 지난 선거에서도 선거법 기준에 따라 전국 대학 중에 부재자 투표소가 설치된 곳은 2007년 대통령 선거 때 5곳, 2008년 국회의원 선거 때 3곳뿐이었다.

부재자 신고인 수가 1천500여명으로 선거법 기준에 미달돼 이번 선거에서 투표소 설치가 좌절된 부산교대 경우 "2천명이 안 돼도 투표소를 설치해 달라"며 부산 연제구선관위 앞에서 '2천배 절하기'투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선관위는 여전히 부재자 투표소 확대가 쉽지 않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선관위 관계자는 "투표소 설치 기준인 2천명이 안 되더라도 지리적으로 고립된 대학 등에서 신청할 땐 설치해 줄 계획이 있다"면서도 "일반 유권자들과 형평성 문제 등 고려할 부분이 많아 설치가 쉽지 않다"고 했다.

양승조 민주당 의원 등 20명은 지난 3월 대학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 기준을 500명으로 완화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했으나 국회에서 논의되지 않고 있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