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원인이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판명 나면서 향후 우리 경제에 어떤 파장을 낳을지 주목되고 있다. 정부는 과거에도 북한발 악재는 여러 차례 있었으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그렇게 크지 않았다며 이번 사태의 파장 역시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민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단호한 조치'를 밀고 나가고 북한이 계속 강경한 태도로 나오면서 위기가 증폭될 경우 금융시장이나 외국인 투자를 포함, 경제 전반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실제로 어제 국내 금융시장은 요동쳤다.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29.90포인트 하락한 1,600.18로 장을 마쳤다. 환율도 전날보다 29원 오른 1,194.10원으로 급등했다. 유럽발 재정위기로 국제금융시장의 불안감이 커진 상황에서 '북한 어뢰' 악재가 겹치면서 투자자 사이에 위험심리가 커진 때문이란 분석이다.
이런 불안심리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국가신인도마저 타격을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일단 "한국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신용등급 A1은 양립할 수 있다"고 했지만 이런 태도가 앞으로도 유지될지는 알 수 없다. 게다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와 피치가 오는 7, 8월에 방한해 등급 조정을 위한 실사에 들어갈 예정이라는 점도 걸리는 대목이다. 그 사이 사태가 악화될 경우 신용등급 산정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위축될 필요는 없다. 우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유일하게 국가신용등급이 오른 국가이다. 또 1분기 중 7.8%나 성장할 정도로 빠르게 위기를 벗어나고 있다. 정부 재정의 건전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우수 그룹에 속하고 민간기업의 활력도 넘쳐난다. 이런 사실은 '코리아 리스크'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하다.
경제주체들이 할 일은 자기 위치에서 자신의 역할을 열심히 다하는 것이다. 우리가 흔들리면 외국인들은 더 흔들린다. 우리가 중심을 잃지 않고 경제활동에 열중하는 모습을 보일 때 외국인 투자자도 한국을 떠나지 않는다. 북한이 강경하게 나올 경우 경제 부문에서 일시적인 요동은 있을 것이다. 하지만 1998년 대포동 1호 발사나 2002년 2차 북핵 위기, 2006년 미사일 발사에 이은 핵실험 등 위기 때마다 내성을 키워온 것이 우리 경제다. 북한발 악재에 너무 안이한 모습을 보여서도 안 되지만 그렇다고 너무 민감할 필요도 없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