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입수능개편, 부작용 보완 뒤 시행해야

현재 중3부터 대입 수능시험을 두 번 볼 수 있도록 하는 개편안이 나왔다. 대입선진화연구회의 안에 따르면 시험은 11월에 보름 간격으로 두 번 치러 좋은 점수를 택할 수 있게 했다. 과목도 국'영' 수외에 탐구는 한 과목으로 줄이고, 국'영'수는 난이도가 다른 A, B형을 선택할 수 있게 했다.

이 안은 단 한 번의 시험으로 대학을 결정하는 데 따른 수험생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다른 모든 예상 부작용을 무시한 문제가 있다. 두 번 수능시험 체제는 1994년에 도입했다가 1년 만에 폐지한 것이다. 난이도 조절 실패와 수험생에게 오히려 더 부담을 준다는 이유였다. 이번에도 수험생이 두 번 모두 치러야하는 부담은 피할 수 없다.

많은 대학이 난이도가 높은 유형의 점수를 요구하고, 난이도 조절 실패에 대비해 논술이나 면접 시험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험생의 부담이 이중삼중으로 커질 것이 분명하다. 10과목에 이르는 탐구 영역을 한 과목으로 통합하는 데 따르는 부작용도 크다. 국'영'수 비중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보름 동안의 시차로 인해 집중 고액과외 등 사교육이 더욱 기승을 부릴 것이다. 이는 현 정부의 교육정책기조인 사교육 줄이기와도 맞지 않다.

문제는 대학입시 관련 교육정책이 드러난 부작용을 임시로 막는 데만 급급한 데 있다. 현 정부 들어서만도 입학사정관제와 수시 전형이 크게 늘고, 고2는 탐구영역이 준 대신 수학의 범위가 늘어났다. 이번 안으로 하자면 2년 만에 또 대폭 바뀌는 것이다. 이렇게 교육정책이 왔다갔다하면 수험생은 물론, 학교도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번 안은 문제점이 확연히 드러난다. 이의 보완 없는 강행은 수험생에게 더욱 큰 부담만 줄 뿐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