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백두대간 벨트', 친환경 개발을 당부한다

경북을 비롯한 내륙 지역 발전 청사진이 마련될 전망이다. 경북도와 강원, 충북, 경남, 전남'북 등 6개 도는 최근 백두대간 벨트에 관한 공동개발 구상안을 마무리하고 이를 국토해양부에 공식 제출했다. 이 구상안은 백두대간 벨트를 광역 공원화를 통한 생태축과 국가 발전을 견인하는 성장축, 두 축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낙후된 내륙 지역 6개 도 28개 시'군의 장기발전 계획인 만큼 차질 없이 시행돼야 하겠다.

국토부는 올 연말 이 구상안에 대한 연구 용역을 거쳐 내년에 정부의 초광역개발권 구상의 하나로 시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구상대로 시행된다면 석탄 산업 사양화 이후 낙후 지역이 된 중부내륙뿐 아니라 설악산에서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남한 지역 백두대간 중심축 684㎞ 전역에 개발 전략이 마련되는 셈이다. 구상안은 '대한민국의 생명 DNA 백두대간, 한반도의 근간인 백두대간의 세계화'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광역 공원화 등 5개 추진 전략을 담고 있다.

6개 도가 마련한 추진 전략과 기본 구상을 토대로 정부가 권역 지정과 기본 구상을 확정할 것이다. 정부는 백두대간 벨트가 조기에 가시적 성과를 얻도록 하기 위해 시범 사업을 내년 중 실시할 계획이라고 한다. 정부가 연구 용역을 거쳐 구체적 추진 계획을 세우겠지만, 노파심에서 한마디 한다면 백두대간 벨트 개발은 철저히 친환경적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백두대간 벨트 주변은 대표적 낙후 지역이지만 한반도 남쪽에 그나마 남은 청정 지역이다. 하지만 현재 백두대간은 각종 난개발로 이미 몸살을 앓고 있다. 따라서 성장축 개발을 위해 도로와 철도 등 각종 인프라 건설을 추진할 경우 훼손이 불가피하다. 환경 보존을 위해 낙후된 상태로 방치해서도 곤란하지만 난개발은 더더욱 안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