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일본, 약탈 문화재 반환에 성의 있게 나서라

일제 강점기 때 빼앗긴 도서 1천205책이 우리나라로 돌아온다. 한일 외무장관은 어제, 이들 책을 6개월 내에 돌려주는 도서 반환 협정을 맺기로 합의했다. 반환되는 책은 조선총독부를 통해 강제로 빼앗긴 조선왕실의궤와 대전회통, 증보문헌비고 등이다. 반면 일본은 민간이 보유한 책에 대해서는 강탈 시기와 소유 주체를 문제 삼아 돌려주지 않는다.

지난 8월 일본 간 나오토 총리가 '반환 의사'를 밝힌 것과 함께 이를 반환하는 것은 당연하다. 국회 비준 문제 등 일본 국내 사정으로 연내에 돌아오긴 힘들지만 6개월 안이라고 시한을 못박은 것도 외교적 성과라고 할 만하다. 그러나 일본 궁내청이 소장하고 있는 제실도서관 직인이 찍힌 책과 경연 서적이 포함되지 않은 것은 아쉽다. 이번에 반환이 이뤄지면 우리나라는 일본이 패망한 지 65년 만에, 지난 1965년 한'일협정 당시 1천452점을 돌려받은 이후 두 번째로 돌려받는 셈이다.

약탈 문화재를 돌려받는 것은 이제 시작이다. 비공식적으로 일본 내에 있는 우리 문화재는 30만 점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돌려받기 위해서는 우리의 노력이 필수적이다. 문화재청을 중심으로 세세한 목록을 만들고, 유출 경로를 정확하게 조사해야 한다. 일본이 민간 소장 혹은 유출 경로 불확실을 이유로 되돌려 주지 않으려는 핑곗거리를 없애야 하기 때문이다.

일본도 약탈 문화재 반환에 더욱 성의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약탈 문화재는 제국주의의 잔재다. 이는 일본이 부끄러워해야 할 과거이며, 세계를 이끌어 가는 현재의 모습과도 맞지 않다. 다른 나라의 소중한 문화재를 강제로 빼앗아 가 자랑하는 것은 스스로 문화 후진국임을 인정하는 것과 같음을 알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