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金시장·金지사 "신공항 지정 왜 꾸물대나" 일침

與 최고회의 참석, 지도부의 지지부진한 움직임에 일침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동남권 신공항 건설과 관련한 여당 지도부의 지지부진한 움직임에 일침을 가했다. 10일 한나라당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 지방자치단체장으로서 첫 참석한 자리에서 였다.

김 시장은 이날 "국민의 신뢰는 정책 일관성에서 나오는 것인데 신공항 문제는 올해 연말까지 적지 선정을 완료하기로 했다가 내년으로 미루는 등 오락가락하고 있다"며 "정부가 정치적 판단으로 선정 시기를 미룬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만큼 여당이 나서 정치적 판단을 배제하고 조기 선정될 수 있도록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지난번 안 대표께서 대구에 왔을 때 신공항 조기 건설 지원에 대해 확실한 해답을 내놓지 않았다"며 "오늘 이 자리에서 조기 건설이 확실히 공론화되지 못할 경우 자리를 뜨지 않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지사는 "여당이 나서서 정부의 늑장 행정을 어떤 식으로든지 조율해야 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김 시장과 김 지사는 이어 여당의 지원이 필요한 지역 현안 보따리를 풀었다. 김 시장은 신공항을 비롯한 3대 현안을 제시했고, 김 지사는 서민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4대 현안에 대한 지원을 촉구했다.

김 시장은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기반시설비 지원금이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되지 않은 것에 대해 "현재 3.3㎡당 293만원인 땅값을 150만원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2천억원 가량이 필요하지만 현재 국토부와 복지부는 서로 자기들 소관이 아니라며 핑퐁게임만 하고 있다"며 "정부와 여당은 의료단지의 국가적 역할만 부각시키기 이전에 지원에 먼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시장은 또 "영남권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세계 최대 행사인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 대회가 코앞으로 다가 왔지만 예산 요구액 460억원 가운데 111억원이 정부안에 미반영됐다"며 지원을 촉구했다.

김 지사는 이날 신공항 조기 건설과 함께 세종시에 들어가려다 실패한 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7월 이명박 대통령에게도 같은 문제를 건의한 바 있는 김 지사는 "지역 3대 가속기, 나노기술집적센터, 포스텍, 구미·포항·대구·울산 등 산업단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를 비롯해 상당한 기반을 갖춘 경북이 반드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한 축을 담당해야 한다"며 "이미 '대전-광주-대구·경북'의 큰 과학 트라이앵글 구조와 '구미-포항-울산'을 잇는 작은 트라이앵글 구조 등이 세부적으로 논의되는 등 논리적 기반은 이미 구축해 놓은 상태"라고 강조했다.

이춘수·김병구·박상전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